[김홍열의 디지털 콘서트 5] 내 정보를 내 정보라 하지 못하고

2017-06-26 20:00
  • 글자크기 설정

[사진=김홍열]


김 홍열 (초빙 논설위원, 정보사회학 박사)

유아 납치는 가장 악독하고 잔인한 범죄다. 판단 능력이 부족한 어린아이의 생명을 볼모로 부모에게 돈을 요구한다. 돈을 가져오지 않으면 아이를 죽이겠다고 협박한다. 경찰에 신고하면 바로 죽인다. 납치범의 이런 목소리가 전화 너머에서 들려오면 누구라도 혼절하게 된다. 아이의 부모뿐만이 아니다. 당사자가 아닌 일반 시민들도 유아 납치에 대해서는 관용을 베풀지 않는다. 유아 납치를 소재로 다룬 영화들이 우리 뇌리에 끔찍하게 기억되는 이유다. 재생 불가능한 것 중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생명이다. 생명은 그 아이의 것이다. 누구라도 남의 생명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
범인들이 생명의 대가로 요구하는 것은 돈이다. 범인들에게는 남의 생명보다 자신의 돈이 더 소중하다. 대부분의 많은 범죄들이 돈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돈은 인간의 생명, 노동, 감정, 미래 등 모든 것을 수치화하고 상대화한다. 화폐가 절대 권력이 되는 순간이다. 사람들은 최소한의 인간적 삶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화폐를 보유하려 한다. 그리고 그 대가로 자신의 노동을 화폐와 교환한다. 노동은 소비되고 삶은 조금씩 유지된다. 이런 패턴이 자본의 시대에 일반적 공식이었다. 그러나 이제 새로운 공식이 하나 등장했다. 자신의 소유가 분명한데 생성되는 순간 이미 자신의 것이라고 말하기 힘들다. 돈이 될 수도 있고 오히려 인질로 잡힐 수도 있다. 네트워크 시대의 정보가 그것이다.

랜섬웨어(Ransomware)는 컴퓨터 시스템을 감염시켜 접근을 제한하고 일종의 몸값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다. 개인이나 기업의 컴퓨터에 해커가 침입해서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볼모로 돈을 요구한다. 해커는 그 안에 있는 모든 정보를 암호화한다. 이제 정보의 주인공이 바뀌게 된다. 내 정보이지만 볼 수 없게 되고 다시 보기 위해서는 해커의 요구를 들어줘야 한다.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웹호스팅 업체 인터넷나야나가 해커에게 13억원을 주고 암호를 풀 수 있는 복호화 키를 받기로 했다고 보도됐다. 인터넷나야나의 결정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홈페이지를 통해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는 많은 기업들의 생존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인터넷나야나에 웹호스팅을 의뢰한 업체의 입장에서는 날벼락이었다. 자신들이 오랜 기간 힘들게 만든 고객 데이터, 상품정보, 시장 현황, 소비자 성향 등에 관한 모든 데이터가 일시에 사라지게 됐다. 당장 주문을 받을 수도 없다. 모든 것을 수작업으로 다시 해야 된다. 전화로 주문받고 주문 내용을 일일이 기록해야 한다. 하루 이틀은 버틸 수 있겠지만 오랜 시간 계속되면 정상적 비즈니스가 불가능하다. 데이터는 언제 복원될지 모른다. 랜섬웨어를 무력화시킬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개발될 때까지 기다릴 수가 없다. 솔루션은 하나다. 해커의 요구에 응해야 된다. 인터넷나야나는 돈을 줬고, 업체들은 다시 자신의 정보를 볼 수 있게 됐다.

이런 범죄 행위는 계속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 보안에 취약한 영세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타고 들어오는 외부의 스파이웨어로부터 자신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망 분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이 많다. 망 분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 중소 규모의 회사들에는 쉽지 않은 결정이다. 그러나 이런 이유 말고 정보 납치 범죄가 반복될 것으로 보이는 더 큰 이유들이 있다. 하나는 해커들에게는 일반적 범죄 의식이 없다는 사실이다. 해커들은 자신의 행위가 사람들의 생명이나 존엄성 같은 대체 불가능한 것을 침해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해커들의 볼모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들이다. 이 데이터들은 항상 복제가 가능하다. 원본은 훼손되지 않는다. 문제가 생기면 바로 돌려줄 수 있다. 이런 생각들이 상대적으로 범죄 의식을 약화시킨다.

다른 하나는 해커 범죄와 같은 경우 국가가 할 수 있는 일이 지극히 제한적이라는 사실이다. 위에서 사례를 든 인터넷나야나의 경우 정보 인질극이 실시간으로 중계되고 있어도 정부가 개입해서 도와주지 못했다. 정부는 범죄인들의 정체를 파악할 수도 없고 혹 어느 정도 추정하고 있다 하더라도 추적하거나 체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국가가 나서서 개입할 수 있는 경우는 범인들의 물리적 위치가 대한민국 영토 안에 있을 때만 가능하다. 국내법의 적용이 가능한 물리적 공간에서 범죄 행위가 이루어져야 공권력이 개입할 이유를 찾게 된다. 그러나 해커들은 특정 국가의 주권이 미치지 못하는 가상공간에 존재한다. 가상공간은 유동적이라서 해커들은 유령처럼 존재한다. 유령을 잡기가 쉽지 않다.

이제 우리는 데이터 없는 세상에서 살 수 없다. 오지 깊숙한 곳에서 수도승처럼 사는 삶을 선택한다면 모르겠지만 일상적 삶을 사는 모든 사람들은 매일매일 데이터로 호흡한다.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뱉듯이 데이터를 만들고 데이터를 소비한다.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내 것이 아닌 것처럼 이제 데이터도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다. 자신의 노트북에 저장된 성형 전 얼굴에서부터 페이스북의 '좋아요', GPS에 노출된 위치 정보, CCTV에 찍힌 모습 등 모든 것이 가상공간에 흘러다니고 있다. 홍길동은 출가 전 아버지 홍 판서에게 극적으로 호부호형의 허락을 받는다. 그러나 우리는 어느 상황에서도 내 정보를 내 정보라 하지 못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순간 우리의 데이터는 가상공간에 유령처럼 떠돌아다니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