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시드니의 집값이 폭등을 지속하는 가운데, 주민들이 외곽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지속된 부동산 과열이 잡히지 않는 가운데 이미 규제 당국이 대책 타이밍을 놓쳤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 비즈니스는 "지난 1년간 시드니의 집값은 19%까지 오르면서 일부 주민들은 늘어나는 주거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같은 부동산 광풍은 젊은이들의 주택 마련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게다가 호주는 최근 유럽과 미국의 정치적 불안정을 피해 백만장자들이 몰려들면서 국가적 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처럼 부유층들이 몰려들면서 시드니의 집값 상승은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시드니 내의 주택 공급을 늘리기도 쉽지 않다. 서쪽의 산악지역과 동부의 해안 지역 그리고 남부, 북부의 국립 공원 탓에 새로운 주택을 집을 땅이 많지 않다. 부동산 자문회사 ‘차터 켁 크레머’(Charter Keck Cramer)는 3년간 이 지역에 지어진 주택의 70%는 시드니의 중심지에서 30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지어졌다고 밝혔다. 외곽에 있는 집들도 가격이 낮지는 않다. 일부 외곽지역의 집값은 2012년에 비해 가격이 63%가 오르기도 했다.
때문에 NSW 주정부는 출퇴근을 돕기 위한 철도, 도로 개설 등 인프라 구축에도 나서고 있다. 그러나 주 정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대책에는 한계가 있다. 베레지클리안 주지사는 “나는 거시경제를 통제할 수도 없으며, 중앙은행의 이자율 결정에도 개입할 수가 없다"고 인터뷰에서 정책적 한계를 토로한 적도 있다.
"결국 시드니 역시 뉴욕이나 런던처럼 장거리 출퇴근이 더욱 일상화될 것이다"라고 블룸버그는 내다봤다.
이처럼 호주의 부동산이 과열되면서 일부에서는 호주 정부가 이미 대책 마련 시기를 놓쳤다는 경고성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시장 조사업체인 '배리언트 퍼셉션(Variant Perception)'의 최고경영자(CEO)인 조너선 테퍼는 지난 8일 호주 현지 신문인 ‘위켄드 호주’와 인터뷰에서 “호주인들은 환상의 땅에 살고 있다”며 규제당국이 적절한 대책 마련의 시기를 이미 놓쳤을 뿐만 아니라 호주의 은행 시스템은 불안정하다고 평가했다.
테퍼 CEO는 호주 주택 시장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도화선 역할을 한 지난 2008년 미국과 닮아있다면서 급락 가능성을 예언한 적도 있다.
호주 경제는 지난 25년간 경기침체 없이 성장해왔지만, 최근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호주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인구가 증가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가계 부채 부담도 늘고 있다는 것이다. 호주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Home loan)은 전체 대출의 6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호주 금융기관들의 리스크 관리가 선진적이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금융위기를 불러올 위험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