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의존도 높은 관광산업…시장 다변화 필요

2016-11-18 00:00
  • 글자크기 설정

서울 명동 거리가 국경절을 맞아 방한한 유커들로 낮부터 붐비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기수정 기자 =유커(중국인 관광객)에 의존하던 우리나라 관광산업이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가 지난 7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를 최종 확정하면서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국관광통계 공표에 따르면 지난 8월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관광객 수는 7월의 91만7518명보다 5%가량 감소한 87만3771명으로 집계됐고, 9월에는 전월 대비 약 17% 감소한 72만6266명이 방한하는 등 그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방한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인 관광객수 감소는 전체 방한 외래관광객 수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7월 170만3495명이던 외래관광객 수는 8월 166만4303명으로 2% 감소한 데 이어 9월에는 152만3928명으로 10% 줄었다.

올해 1~9월 우리나라를 찾은 외래관광객 1300만1573명 중 중국관광객 수는 절반에 육박하는 633만4312명(48.7%)이다.

일본과 대만·홍콩·필리핀·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인도.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 방한 비율 상위 10개국을 다 합쳐도 전체의 33.5% 정도인 323만3821명인 것을 감안하면 유커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높다.

중국인은 그 수만큼 씀씀이 또한 컸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의 1인당 지출경비는 평균 2319달러(약 258만원)로, 한국을 찾는 해외 관광객 중 큰 씀씀이를 보였다.

상황이 이러니 정부는 그동안 '큰 손' 유커를 위한 VIP 상품 개발, 쇼핑 할인 등의 관광상품을 주로 개발·홍보하며 이들을 유치하는 데 주력해왔다. 

그렇지만 사드 배치결정 이후 중국정부의 비자정책이 강화됐고 10년동안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하던 중국인 관광객수가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국내 관광산업에도 위기가 닥쳤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중국 정부가 한국행 저가 관광상품 규제 및 방한 유커 수 20% 감축 지침을 자국 여행사에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여행업계는 살얼음판을 걷는 양상이다.

중국인 관광객은 ‘내수의 버팀목’인만큼 유커 수 감소가 한국 경제에 주는 타격이 작지 않다. 우리나라를 찾는 유커가 줄면 관광수입도 자연스레 감소하기 때문이다.

관광업계 전문가들은 "사드 등 국가의 역학관계에 따라 관광산업의 명암도 널을 뛰는 양상이다"며 "이제 한국 관광산업이 중국에만 의존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일본 여행수지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도 이같은 지적이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중국 308만명, 한국 238만명, 대만 216만명, 홍콩 87만명 등 나라별로 거의 균등한 비율을 보인 반면, 같은 기간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 관광객은 일본(103만명), 대만(39만명), 홍콩(31만명) 관광객을 합친 수보다도 훨씬 많은 381만명을 기록했다.

한 관광업계 종사자는 "중국 관광객이 방한 관광 시장 1순위를 차지하는 상황은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광시장을 다변화해 유커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일본의 방한 시장을 회복하고 무슬림, 인도, 유럽 등지로 국내 관광 시장 타깃을 넓혀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 다변화와 함께 한중 관계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 지우링허우(1990년대 이후 출생한 중국인) 중심의 싼커(散客·개별관광객)  공략 등 중국 방한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략을 세분화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싼커는 단순한 상품 구매에 그치지 않고 한국의 일상을 직접 느끼면서 체험형 쇼핑을 추구하고, 온라인·모바일 등 IT(정보기술) 기기를 활용해 정보를 수집한 뒤 필요한 상품만 콕 찍어 구매하는 '스마트 쇼핑'에 능한 세대다. 자신의 개성과 취향에 따라 여러가지 상품을 소량 구매하는 패턴을 보여 1회 구입 금액은 적지만 여러 번 한국을 찾아 지속적인 매출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의 취향을 분석한 맞춤형 여행 콘텐츠를 개발하고 스마트폰 중국어 앱 보급, 와이파이 존 확대, 열악한 지방 관광 인프라 개선 등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