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장래는 5일 국민투표에 달렸다

2015-07-01 16:16
  • 글자크기 설정

[사진= CNN 뉴스 방송 화면 캡처]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그리스의 채무 불이행이 확정되면서 오는 5일 시행되는 국민투표가 유로존 잔류와 탈퇴 갈림길에 선 그리스의 미래를 결정짓게 된다. 국내 여론은 유로존 잔류가 우세하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도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만은 막으려 한다.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는 지난달 27일 긴급 연설을 통해 “채권단이 그리스 국민에게 참을 수 없는 부담이 될 제안을 했다”며 “채권단의 제안을 국민투표에 부치겠다”고 밝혔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현재까지는 채권단의 제안을 찬성한다는 국민이 많은 상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발표된 현지신문 ‘투비마’의 여론조사 결과 채권단의 방안에 찬성하는 의견이 47.2%, 반대는 33.0%였다. 

국민투표 결과가 여론조사와 같이 나오면 그리스는 채권단과 다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협상안 찬성은 치프라스 총리에 대한 불신임을 의미해 조기 총선 등을 통해 새 정부가 들어설 수도 있다.  그리스 정부는 "국민투표와 그렉시트(Grexit·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는 별개"라며 국민에게 협상안에 반대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정상들은 반대표는 유로존 회원국 지위에 반대하는 것과 같다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그리스 정치인들이 국민의 진정한 이익을 위해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할 때”라며 “국민투표 부결은 그리스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과 EU에서 거리를 두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EU의 바람과는 달리 반대가 더 많이 나온다면 재협상은 ‘물 건너갔다’고 봐야 한다는 관측이 많다. 그리스 국민으로부터 재신임을 받은 급진좌파연합(시리자)이 채권단과 등을 돌리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진다. 당장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동성 공급을 중단할 수 있어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이 확산할 전망이다. 그리스의 은행 시스템이 마비되면 그리스 주변국까지 혼란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유로그룹이 1일 회의에서 3차 구제금융안을 승인하면 그리스는 예정된 국민투표를 취소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3차 구제금융안은 IMF를 배제한 것으로 IMF가 동의할지는 확실치 않다. 유럽안정화기구(ESM)도 개혁안을 전제로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나 그리스는 지난 25일 채권단의 개혁안을 거부한 바 있어 협상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