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 금융당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술금융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것과 달리 관계형금융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사그라들고 있다. 관계형금융은 은행이 기업과의 장기적 신뢰관계를 통해 장기대출 및 지분투자 외에 경영 컨설팅서비스를 제공해 기업의 성장과 사업성과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하반기 관계형금융 강화를 위해 금융사들을 적극 독려했지만, 금감원장이 바뀐 뒤로는 관계형금융에 대한 관심이 크게 줄어든 게 사실이다. 그러나 기술금융에 비해 관계형금융은 더욱 긴 호흡으로 실행되는만큼,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는 데 시간이 걸릴 뿐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최수현 전 금감원장은 관계형금융이 금융권에 확산되도록 공을 들였고, 지난해 11월 24일부터 은행권에서도 관계형금융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 전 원장이 물러나고 11월 19일 진웅섭 원장이 취임한지 두 달이 지난 지금까지 관계형금융에 대한 후속 홍보활동 등은 찾아보기 힘들다.
물론 진 원장이 신년사를 통해 "관계형금융이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금감원이 관계형금융 강화 활동을 완전히 접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다만, 이미 금융당국과 금융권의 관심이 기술금융에 쏠려 있어 향후 관계형금융의 동력이 더욱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당초 기술금융은 금융위원회가, 관계형금융은 금감원이 각각 추진하는 경쟁 관계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성격이 비슷한 두 정책성 금융을 두고 금융위와 금감원이 힘 겨루기를 한다는 평가도 나왔다. 사실 금융사 입장에서는 성격이 비슷한 기술금융과 관계형금융이 동시에 추진되는 것도 큰 부담이다.
그러나 당국의 수장이 바뀌면서 시작한지 얼마되지도 않은 정책의 연속성이 끊길 경우 '시장에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일각에서는 금융위가 추진하는 기술금융에 더욱 무게를 싣는 한편으로 전 금감원장의 흔적이 지워지기를 기다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관계형금융은 기술금융보다 더욱 장기적인 차원에서 진행돼야 하므로 실적도 서서히 나타날 수밖에 없다"며 "관계형금융을 소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술금융과 관계형금융은 평가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중복지원을 받는다면 오히려 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은행 입장에서도 관계형금융이 새로운 수익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