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해체는 블루오션?… 국내 조선업계는 왜 안나서나 했더니

2014-12-10 17:26
  • 글자크기 설정

각 지역별 해양플랜트 설치 현황 2010년 기준. [사진=KMI제공]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건조에만 치중됐던 해양플랜트 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해체산업이 블루오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유가가 하락세를 나타내면서 해양관련 수주가 급격히 줄고 있는 대신 노후화된 해양 시설물에 대한 해체수요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서다. 하지만 국내 조선업계는 환경적인 부분에 있어 리스크가 커 참여를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10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전 세계에 설치된 해양플랜트는 약 7500개로 추정된다. 미국 멕시코만에 설치된 플랜트는 약 3500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아시아지역은 1700개 수준으로 뒤를 잇고 있다. 일각에서는 실제 설치된 해양플랜트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그 중 노후화된 해양플랜트를 해체해야 하는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20년 전에 설치된 해양플랜트는 약 4500개 수준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의 운용연한이 25년 수준으로 본격적으로 해체산업에 진입했음을 알리고 있다.

KMI는 향후 연간 400~500개의 해양플랜트가 해체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에서 해체될 해양플랜트는 향후 5년간 약 350억 달러 규모, 북해는 향후 30년간 약 650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가까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최대 32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글로벌 해양플랜트 해체시장이 주목받는데 반해 국내 업체들은 참여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해체에 있어 환경오염 등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플랜트 해체산업의 경우 시추한 부분, 즉 구멍을막기 위한 기술력은 미국이나 유럽 같은 유전 전문 업체들이 위주로 하고 있다”면서 “현재 전 세계에서 플랜트를 전문적으로 해체하는 업체는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해체작업이 환경영향이 크다보니 이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들이 하청을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해체 산업은 국내 업체들의 참여가 어렵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수익성 여부 또한 아직 검증되지 않았고 해체보다 사용연한을 늘리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한 해양플랜트 업계 관계자는 “실제 25년이라는 사용연한을 예상하고 있지만 가스 및 석유 시추는 그보다 더 오랫동안 이뤄지는 경우도 많아 수리비중이 높다”면서 “해체 수요가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다가가기엔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