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 중국의 해외직접투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 국유기업에서 민간기업으로 투자 주체가 확대되고, 투자 양상도 해당 국가에 대한 직접 투자에서 M&A 방식 등으로 확대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도 중국 자본에 그대로 노출된 상황이다. 이에 대한 우리 정부와 기업들의 대응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특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액은 지난해 1010억달러로 미국과 일본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최근 우리은행 인수전에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운 중국 안방보험그룹의 참여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 사례다. 아직 공식적으로 인수전에 뛰어들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안방보험그룹이 우리은행 인수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유동성 악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부그룹의 경우 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의 반대로 실현되지는 않았으나 중국기업들이 동부제철의 인천공장에 대해 관심이 높았던 사실도 최근 중국 기업들의 공격적 투자 분위기를 대변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국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전년 동기대비 37.9%가 증가, 사상 최대인 148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 중 중국의 투자가 10억3000만 달러로 전년 같은기간 대비 230.4%나 급증했다. 중국의 직접투자가 국내 전체 외국인 투자를 이끌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과 정부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국 기업의 급속한 성장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을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중국의 글로벌시장 직접투자는 지난 1990년 8억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5년부터 연평균 30%의 속도로 증가, 지난해 10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액에서 2.3%에 해당하는 규모다.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잔액 규모는 더 가파르게 올라 지난 2005년 572억달러에서 지난해 6136달러로 10년도 채 되지 않아 10배 이상 늘어났다.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잔액 전체 규모에서도 7.2%에 달하는 액수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직접투자 양상도 최근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선 국유기업 중심의 투자에서 민간기업들도 투자에 나서고 있다. 민간기업의 투자금액 비중은 지난 2005년 9.9%에서 2013년에는 25%로 급증했다.
투자 대상도 제조업 중심의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그 중 에너지 분야의 투자액이 가장 가파르게 늘고 있다. 중국 해외직접투자액 중 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는 2005년 79억7000만달러에서 지난해에는 627억7000만달러로 급증했다.
아울러 M&A에 대한 투자비중도 기존에 직접 공장 등 제조시설을 짓거나 하는 방식의 그린필드(Green Field) 투자 방식을 제치고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03년 M&A와 그린필드 형태의 투자비중은 각각 10.4%, 89.6% 였으나 2013년에는 M&A와 그린필드가 각각 72.2%, 27.8%를 차지해 완전히 반대 양상이 됐다.
보고서는 특히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해외시장 진출 욕구가 커지고, 자본시장 규제 완화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 중국의 해외투자는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중국의 추격 전략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중국과 한국과의 경제관계가 종속적인 관계로 진행될 가능성에 대한 대응책 △중국 민간기업들의 상업적 목적의 투자 증가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책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중국 자본 유입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경영권 방어와 산업기술 보호 등을 위한 대응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전용찬 연구위원은 “중국 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로 유발되는 국내외간 기업들의 시너지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 제조업 경쟁력 제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노력이 절실하다”며 “우리나라도 정부가 관련 규제를 완화하여 기업들이 전략적인 해외직접투자를 유도하여 산업구조 고도화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