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선공사 감전사고 발생률 0.0047%…"한전 안전사고 예방 부실"

2014-08-20 16:2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최근 송·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전기 배전원들의 감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데, 한전측이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을 작업자들의 실수로 돌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전정희 의원이 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5년간 송·배전공사의 감전사고 현황'에 따르면 사망 18명 부상 159명으로 총 177명이 사고를 당했다.

반면, 한전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사망 13명, 부상 127명으로 총 140명이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한전이 제출한 감전사고 현황은 산업재해로 분류된 감전사고(고용노동부 제출자료)이며, 전기안전공사가 제출한 감전사고 현황은 전국의 화상치료 종합병원을 돌며 전수조사한 자료이다.

전정희 의원은 이처럼 송배전공사 감전사고 발생 수치가 차이를 보이는 것은 배전공사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한전이 공사업체에 제재를 가하고 있어 업체들이 감전사고를 산업재해로 처리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한전은 배전공사 중 안전사고 발생시 최소 시공중지 5일(벌금 300만원), 최대 시공중지 10일(벌금 500만원)의 제재를 가하고 있다.

또 감전사고의 원인을 둘러싸고도 입장이 갈린것으로 나타났다. 한전측이 전정희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송배전공사 감전사고 중 활선작업을 하다가 사고가 난 경우는 5명으로, 당해 활선공사 건수 대비 감전사고 발생율은 0.0047%(5명÷105,465건)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2만2900V의 전력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배전공사를 하는 직접활선공법이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이 아닌, 배전원들이 작업 지침을 준수하지 않거나 안전보호 장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아 발생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전정희 의원이 지난 13일 감전사고를 당한 배전원들을 만나 인터뷰한 결과에 따르면 8명 중 7명이 직접 활선작업을 하다가 감전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전기 배전원들은 배전공법을 간접활선공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정희 의원은 “2만2900V 고압전력이 살아있는 상태의 작업이 감전사고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수많은 연구결과가 나왔음에도 한전은 계속해서 활선공법에 의한 감전사고율을 축소하고 있다”면서 “한전이 노동자들의 안전을 무시하고 공사원가 절감에만 몰두해 직접활선공법을 고수하는 것은 공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질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