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는 "중국과 북한이 군사동맹 관계에 있다는 것은 맞지 않다"면서 "어떤 국가와도 군사동맹을 맺지 않는 것이 중국 외교의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라고 밝혔다.
류 부장조리는 한·중 기자단 교류차 지난 17일 중국 외교부를 방문한 한국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북·중 간 군사동맹이 여전히 유효한 것 아니냐. 북·중 동맹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가능성은 없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와 북한의 관계는 중·한 관계처럼 어떤 나라에도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군사동맹 방식으로 안보를 유지하는 것은 시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국과 북한은 지난 1961년 조·중우호협력상호조약을 맺었고, 이 조약에는 서로 침략을 받을 때 군사적 자동개입 조항이 들어 있으나 사실상 이 조항이 폐기됐다는 주장이 그동안 제기돼 왔다.
류 부장조리의 언급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류 부장조리는 또 '북·중 간 고위급 교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중국과 북한은 가까운 이웃으로 정상적인 왕래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해 많이 짐작하지 말아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주권국가이며,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북한의 최고 영도자이고 우리는 이를 존중한다"면서 "중국과 북한은 여러 가지 왕래를 계속 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보다 한국을 먼저 방문하는 것이 핵 개발을 하는 북한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표면적으로 보면 시 주석의 방한은 북한을 방문하기 전에 이뤄지는 것이다"면서도 "여기에 필연적인 관계는 없다. 중국은 중·한 관계도, 중·북 관계도 중요시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반도는 비핵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최종적으로 비핵화돼야 한다"면서 "우리는 어떤 한 측이 어떤 방식으로든 핵을 보유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북한의 핵보유에 반대하는 중국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이와 관련, 그는 "6자 회담국 모두 탄력적인 태도를 취하고 이른 시일 내에 6자회담을 재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한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문제의 핵심은 북한과 미국 관계"라면서 "양국의 관계가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로 서로 자극하고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 대화의 진전에 유리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일 3각 안보 공조에 대해서는 "지역의 안보와 평화를 위해야 하고 다른 나라의 안보를 해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그는 유엔이 북한 인권 현장사무소를 한국에 설치하는 것과 관련된 질문에 "국가 간에 인권 문제는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대화가 가장 효과적 방법"이라며 "개인적으로 생각하기로는 한국에 사무국을 설치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최근 일본의 과거사 '도발'과 고노담화 검증 결과 발표 등에 대해서는 "금년 들어 일본 총리의 행동은 분명한 역사적 사실과 인류의 양식, 그리고 중·한 양국을 비롯한 전 세계 평화를 바라는 사람들의 희망에 위배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우리는 한국 정부와 국민의 요구가 정의로운 요구라고 생각한다"면서 "한국과 역사문제에 대해서는 계속 소통·교류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별도로 한국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어떻게 말하든지 핵 보유라는 국면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면서 "제가 보기에 북한은 반드시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을 것이다. 가장 핵심 희망은 미국과 북한의 관계 개선 같다. 지금 가장 좋은 것은 6자회담 재개"라고 밝혔다.
류 부장조리는 한·중 기자단 교류차 지난 17일 중국 외교부를 방문한 한국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북·중 간 군사동맹이 여전히 유효한 것 아니냐. 북·중 동맹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가능성은 없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와 북한의 관계는 중·한 관계처럼 어떤 나라에도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군사동맹 방식으로 안보를 유지하는 것은 시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국과 북한은 지난 1961년 조·중우호협력상호조약을 맺었고, 이 조약에는 서로 침략을 받을 때 군사적 자동개입 조항이 들어 있으나 사실상 이 조항이 폐기됐다는 주장이 그동안 제기돼 왔다.
류 부장조리는 또 '북·중 간 고위급 교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중국과 북한은 가까운 이웃으로 정상적인 왕래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해 많이 짐작하지 말아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주권국가이며,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북한의 최고 영도자이고 우리는 이를 존중한다"면서 "중국과 북한은 여러 가지 왕래를 계속 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보다 한국을 먼저 방문하는 것이 핵 개발을 하는 북한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표면적으로 보면 시 주석의 방한은 북한을 방문하기 전에 이뤄지는 것이다"면서도 "여기에 필연적인 관계는 없다. 중국은 중·한 관계도, 중·북 관계도 중요시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반도는 비핵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최종적으로 비핵화돼야 한다"면서 "우리는 어떤 한 측이 어떤 방식으로든 핵을 보유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북한의 핵보유에 반대하는 중국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이와 관련, 그는 "6자 회담국 모두 탄력적인 태도를 취하고 이른 시일 내에 6자회담을 재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한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문제의 핵심은 북한과 미국 관계"라면서 "양국의 관계가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로 서로 자극하고 강경한 태도를 보이면 대화의 진전에 유리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일 3각 안보 공조에 대해서는 "지역의 안보와 평화를 위해야 하고 다른 나라의 안보를 해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그는 유엔이 북한 인권 현장사무소를 한국에 설치하는 것과 관련된 질문에 "국가 간에 인권 문제는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하며 대화가 가장 효과적 방법"이라며 "개인적으로 생각하기로는 한국에 사무국을 설치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 최근 일본의 과거사 '도발'과 고노담화 검증 결과 발표 등에 대해서는 "금년 들어 일본 총리의 행동은 분명한 역사적 사실과 인류의 양식, 그리고 중·한 양국을 비롯한 전 세계 평화를 바라는 사람들의 희망에 위배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우리는 한국 정부와 국민의 요구가 정의로운 요구라고 생각한다"면서 "한국과 역사문제에 대해서는 계속 소통·교류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별도로 한국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이 어떻게 말하든지 핵 보유라는 국면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면서 "제가 보기에 북한은 반드시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을 것이다. 가장 핵심 희망은 미국과 북한의 관계 개선 같다. 지금 가장 좋은 것은 6자회담 재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