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지구는 충북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충남 천안이 선정됐다.
정부는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특화대학 및 기초과학연구원 캠퍼스 3개를 설치키로 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한 과학벨트위원회는 16일 서울시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3차 전체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관련기사 3면>
대전에는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등을 설치해 세계적 기초과학연구의 허브를 구축한다.
청원·연기·천안에는 산·학·연을 연계한 인력양성 프로그램과 공동 연구개발 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거점지구의 연구 성과가 비즈니스로 연계되는 선순환구조를 완성할 계획이다.
기초과학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기대(UNIST), 포스텍(포항공대)등 과학기술 특화대학과 연구개발 특구에 캠퍼스를 설치,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오는 2017년까지 총 5조 2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기초연구역량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또 최근 심화되고 있는 우수한 젊은 과학자의 해외유출과 세계 각국의 치열한 두뇌확보 경쟁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연구개발(R&D)체질을 선진국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전환, 우리나라가 세계 과학기술 발전의 중심 역할을 해 나가도록 할 것”이며 “유관부처·지자체 등과 긴밀히 협조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황식 국무총리는 이날 LH 본사와 과학벨트 입지가 발표된 직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두 가지 사안 모두 지역사회의 강한 열망과 의지가 표출되었기 때문에 정부로서도 고심을 거듭하며 어려운 결정을 해야 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과학벨트는 특정 지역에만 국한된 사업이 아니며, 국내의 우수한 연구역량을 갖춘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함께 참여하는 사업”이라며 “LH는 통합취지 및 경영효율성 등을 감안할 때 일괄이전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양해를 구했다.
그는 “더 이상의 갈등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국익을 도모하고 두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서로 자제하고, 더 나아가 모두의 마음을 모아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