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가든파이브 최대 수혜자는 대기업

2010-03-01 17:16
  • 글자크기 설정

동남권유통단지(가든파이브).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청계천 상인의 이주 목적으로 지어진 초대형 상가다. 그런데 이 곳의 대부분을 대형업체가 채우고 있다. 입주율을 높이기 위한 특단의 조치라지만 수천억원이란 혈세를 들여 조성한 상가의 최대 수혜자가 결국 대기업이 되는 셈이다.

상가의 입지는 최상이다. 위례신도시와 인접해 있고 외곽순환도로 진출입로와도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인들이 외면한 까닭은 무엇일까.

동남권유통단지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최대 치적인 청계천 복원사업과 맞물려 있다. 당시 생존위협에 몰린 상인의 반대 시위는 격렬했다. 청계천 복원의 최대 걸림돌이 청계천변 상가 이전이었다. 당시 이 시장은 치밀하고 끈질겼다. 밤낮없는 설득과 담판을 거듭한 끝에 청계천변 상인은 점포 당 6000만~7000만원의 저렴한 분양가를 약속받았다.

지금 동남권유통단지에 청계천 상인을 찾기란 하늘의 별 따기다. 서울시는 지난 2008년 말 가든파이브를 완공했지만 악성 미분양으로 고통받아왔다. 계약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여러가지 지원책을 내놨지만 상인들에겐 미봉책으로만 느껴졌다.

고분양가가 상인들의 발길을 돌린 가장 큰 원인이다. 또 서울시의 말바꾸기 식 행정은 상인에게 불신만 가중시켰다.

서울시의 입장은 과거와 별반 다르지 않다. 과거에 계약률에 집착했다면 현재는 입주율에 집착하고 있다. 또 상권 활성화는 시간문제라는 안일한 생각이 여전하다.

서울시와 SH공사는 한번에 1000여개의 점포를 대체하는 대형 유통시설 유치로 고무된 분위기다. 서울시 측은 모든 희망을 대형업체에 걸고 있다. 그들이 입점 시점이 상권 활성화를 보장한다는 생각에 기인한다.

그러나 상가전문가들은 이러한 발상이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개장을 4차례나 미뤄오면서도 아직 정신을 못 차렸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개장에만 목메고 있는 서울시. 수많은 청계천 상인 대신 대기업을 택하고, 상인들의 이주 목적으로 조성된 공구상가를 동양 최대의 쇼핑몰로 바꿔 놓은 데 대한 책임은 반드시 지어야 할 것이다.

아주경제= 권영은 기자 kye30901@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