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전월세 12만7111건의 거래 가운데 월세 거래는 6만8116건으로 전체의 53.6%에 달했다.
이는 국토부가 실거래가시스템에 관련 통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전세사기 피해가 본격화하기 전인 2020년의 29.5%와 비교하면 24%포인트(p) 이상 급증한 것이다. 올해 아파트의 월세 비중 41.6%와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치다.
서울의 연립·다세대 월세 비중은 2020년 29.5%에 그쳤다. 그러나 이후 저금리 장기화와 임대차 2법 시행 등으로 전셋값이 크게 오르며 2021년에는 월세 비중이 33.0%까지 높아졌다.
이로 인해 보증금 미반환 사고 우려에 전세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로 돌리는 수요가 늘었고 2022년 월세 비중은 39.5%, 지난해에는 48.1%로 증가했고, 올해 들어 50%를 넘어섰다.
경기 지역도 연립·다세대 전월세 신고 6만3520건 가운데 월세 거래가 3만2760건으로 전체의 51.6%에 달했다. 2020년 30.6%에 비해 20%p 이상 높아진 것이다.
이에 따라 월세 가격도 계속해서 상승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월세통합 가격지수는 지난 10월 기준으로 102.0을 기록하며 2021년 6월 기준(100)일 이후 가장 높았다. 경기도의 월세가격 지수는 올해 10월 101.9로 2022년 11월(102.0) 이후 가장 높다.
이처럼 빌라 시장의 전세 기피 현상이 확산하면서 한동안 국내 시장을 떠났던 외국계 사모펀드와 부동산 회사들의 국내 주거용 임대시장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다. 국토부는 최장 20년간 임대를 놓는 기업형 장기 임대 도입 등 제도적 지원에 나선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