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조성에 따른 국가 신인도 추락으로 원화 가치가 급락(원·달러 환율 상승) 중이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 상승으로 에너지·먹거리 가격이 들썩일 수밖에 없다.
동절기 난방 수요 증가까지 겹쳐 간신히 안정세로 돌아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재반등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에만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기준 24.5원 급등했다. 지난달 29일 1394.7원에서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지난 4일 1410.1원까지 급등했고 6일에는 1419.2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주 원화 가치는 전주 대비 1.86% 절하되면서 주요국 통화와 비교해 최약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유로화(0.03%), 엔화(0.10%), 파운드화(0.26%), 대만달러(0.51%) 등은 달러 대비 강세였다. 역외 위안화(-0.36%), 호주달러(-1.32%) 등은 달러 대비 약세였지만 원화보다는 절하 폭이 작았다.
고환율은 민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환율이 뛰면 국제 유가가 안정세를 보여도 원유 수입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 당장 휘발유와 경유 모두 8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7일 집계된 12월 첫째 주 기준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ℓ당 1641.9원으로 전주 대비 3.6원 올랐다. 경유도 ℓ당 1482.3원으로 6.5원 상승했다. 대한석유협회는 원·달러 환율 강세로 휘발유 가격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특히 에너지 가격 변동 폭이 커지면 동절기 대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천연가스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른 탓에 2022년에서 2023년으로 넘어가던 겨울에 서민 가계를 덮친 난방비 폭탄이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먹거리 가격도 불안하다. 우리나라는 식량·곡물 자급률이 낮아 환율 영향으로 먹거리 가격이 널뛰기를 할 수 있다. 최근 3년간 곡물 자급률은 19.5%에 불과하다. 지난 9월부터 3개월 연속 1%대에 머물고 있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재반등하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탄핵 정국이 장기화하면 환율 변동성도 커질 것"이라며 "외환당국 개입으로 (환율이) 1419원에서 일단 안정됐지만 외환보유액이 줄어들 수 있어 무작정 개입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환율 상황이 이어지면 내수 침체가 더 심각해져 부실채권이 늘어나고 증시와 부동산 시장에도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부연했다.
동절기 난방 수요 증가까지 겹쳐 간신히 안정세로 돌아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재반등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에만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기준 24.5원 급등했다. 지난달 29일 1394.7원에서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지난 4일 1410.1원까지 급등했고 6일에는 1419.2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주 원화 가치는 전주 대비 1.86% 절하되면서 주요국 통화와 비교해 최약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유로화(0.03%), 엔화(0.10%), 파운드화(0.26%), 대만달러(0.51%) 등은 달러 대비 강세였다. 역외 위안화(-0.36%), 호주달러(-1.32%) 등은 달러 대비 약세였지만 원화보다는 절하 폭이 작았다.
특히 에너지 가격 변동 폭이 커지면 동절기 대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천연가스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른 탓에 2022년에서 2023년으로 넘어가던 겨울에 서민 가계를 덮친 난방비 폭탄이 재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먹거리 가격도 불안하다. 우리나라는 식량·곡물 자급률이 낮아 환율 영향으로 먹거리 가격이 널뛰기를 할 수 있다. 최근 3년간 곡물 자급률은 19.5%에 불과하다. 지난 9월부터 3개월 연속 1%대에 머물고 있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재반등하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탄핵 정국이 장기화하면 환율 변동성도 커질 것"이라며 "외환당국 개입으로 (환율이) 1419원에서 일단 안정됐지만 외환보유액이 줄어들 수 있어 무작정 개입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환율 상황이 이어지면 내수 침체가 더 심각해져 부실채권이 늘어나고 증시와 부동산 시장에도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