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자동차 수출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동력원에 대한 대응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28일 서울 자동차회관에서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자동차 통상정책 대응'을 주제로 제39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을 열었다.
송 교수는 "한국은 트럼트 2기 내내 미국 대외 정책의 조준점이 될 것"이라며 "미국 외 대체 무역로 및 전략을 모색하면서 '미국과 줄 것은 주되, 최대한 얻어낸다'는 마음가짐으로 트럼프 충격을 기회로 삼으려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충격은 우리뿐 아니라 유럽, 중국, 일본 등 세계 각국 공통의 문제"라면서 "우리는 군사안보 분야 동맹관계를 경제통상으로 전략적 연계를 통해 풀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자동차산업에 대해서는 "GM, 도요타 등과 합종연횡을 추진하는 것은 좋은 전략"이라며 "하이브리드차 확대 등으로 포토폴리오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신정부 관련 자동차 통상정책 변화와 대응'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전기차 수요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축소 및 환경규제 완화 정책은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 전기차 전환을 지연시키는 요소"라며 "중장기적으로 전기차는 가격경쟁력 향상 여부가 관건이며 당분간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동력원에 대해 대응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동차에 대한 고율의 추가관세 도입과 관련해 조 선임연구원은 "고율의 관세부과는 국내 생산 및 수출에 치명적일수 있다"면서 "현지생산 확대, 수출시장 다변화, 협상 능력 강화 등이 필요하고 멕시코, 일본, 독일 등과 협력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반면 자동차부품산업에 대해서는 "미국의 중국 배제와 멕시코를 통한 우회 수출 방지 정책이 우리 자동차부품산업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한미FTA 원산지 규정 강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우리 기업의 국내외 자동차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회장은 "보편관세, IRA 폐지, 기존 무역규범에 대한 개정 조치 등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정책 시행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 전문가TF를 구성해 시나리오별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부와도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라며 "대외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 속 자동차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고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보급 확대 등 내수진작책 또한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