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21일 "고양시의회는 사과하고, 시민을 위한 상생 약속을 지키라"며 의회 측의 상생 협약 이행을 촉구했다.
이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년 4개월 동안 의사와 무관한 이유로 의회 파행이 반복되면서, 시민의 이익 침해도 한계를 넘어섰다"며 "의회에 시 입장을 10여 차례 표명했지만, 여전히 변한 것이 없다"고 기자회견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이 시장은 그 일례로 시장이 관심을 둔 필수예산들이 여러 차례 표적 삭감됐다고 지적했다.
앞서 의회는 시가 제출한 도시기본계획 재수립 용역을 3차례, 공립박물관 건립을 위한 용역 예산을 5차례 삭감한 바 있다.
도시기본계획은 경제자유구역과 1기 신도시 등 노후 도시의 재개발·재건축과 직결된 최상위 도시계획이자, 지속 가능한 지역 관리를 위한 정책·전략의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는 도시 발전 청사진이기도 하다.
또, 의회는 복지재단 설립, 한옥마을 조성, 취약계층 미세먼지 방진창 설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등 시민 관심 사업에 대해서는 1년 가까이 예산 삭감을 반복하고 있다.
의회의 예산 삭감은 이 시장의 취임 첫 예산인 2022년 2회 추경 심의부터 시작됐다.
당시 광역 철도망 확충 방안 수립 예산이 진통 끝에 삭감된 데 이어 이듬해 본예산에서도 경제자유구역, 바이오산업, 벤처기업 등 기업 유치와 관련된 예산은 물론 업무추진비까지 90% 삭감한 바 있다.
이 시장은 "의회에 제출한 예산안은 시장의 예산이 아닌 '시민의 예산'"이라며 "현 시장이 원하는, 혹은 현 시장 임기 중 사업이란 이름표만 떼면 단 1%도 삭감될 이유가 없는 예산"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시민을 위해 당연히 세워야 하는 예산을 스스로 삭감하고, 수혜자가 벼랑 끝에 몰릴 때쯤 다시 살리는 것은 심사를 빌미로 한 의회 권위주의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의회가 지방자치법에 명시된 본연의 의무인 출석 및 심사 자체를 하지 않아 사회적 위기를 초래했던 일도 있었다고 비판했다.
의회가 지난해 9월 임시회에서 관내 학생들을 위한 급식 예산과 복지 급여, 도로 보수, 인건비 등 민생 예산을 처리하기로 했지만, 의결정족수 미달로 파행됐고, 다음 달 임시회에서야 예산이 극적으로 처리됐다는 것이다.
이 시장은 "2023년 본예산 때는 파행 과정에서 타 지자체보다 예산이 늦게 편성돼 취임 1년 후에야 조직이 정비되는 무력과 혼란의 상태가 초래했다"고 밝혔다.
시가 민선 8기 이 시장의 '잘 사는 도시' 만들기 핵심 정책이 담긴 조직 개편안을 제출했지만, 의회가 파행으로 예산이 심사조차 하지 않아 예산의 78.5%만 반영하는 준예산 체제가 가동됐다는 것이다.
이 시장은 "2024년 본예산 의결에 반발하며 제출했던 재의요구를 올해 2월 철회하고, 5월에는 갈등을 완전히 끝맺기 위해 의회와 상생 협약도 맺는 등 소통의 끈을 놓지 않고 기다렸다"면서 "의회는 협약을 맺은 당일,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또다시 예산 표적 삭감을 자행했다"고 말했다.
상생 협약 후 1회 추경에서 필수 용역 예산 14건이, 2회 추경에서 도로건설관리계획 용역은 물론 수목원, 스마트팜 등 주민 선호 예산들이 대거 삭감됐다는 설명이다.
이 시장은 "의회는 지난 9월 임시회에서 킨텍스 방문객이 머무는 호텔이 건립될 부지(S2부지)의 매각까지 반대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CJ라이브시티 협약 해제에 따른 시민 상실감이 큰 상황에서 마이스 산업은 고양시를 일으킬 1순위 동력으로, 호텔 건립과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비 마련을 위해 부지 매각이 꼭 필요하다"며 "전임 시장들이 추진한 사업을 이동환이 하면 안 된다고 막아섰다. 상생이 어디 있고, 협치가 어디 있느냐"고 꼬집었다.
이 시장은 "의회가 원하는 상생은 시민이 아닌 '시장과 의장의 상생', 혹은 앞에서는 웃고 돌아서서 무차별적으로 민생 예산을 삭감하는 '말로만 상생'이어서는 안 된다"며 "이제라도 의회는 상생 약속을 지키기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