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우려·반도체 공포 덜고, 중국도 오르는데… 증권가 "한국 증시만 반등폭 제한"

2024-10-07 18:41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중국을 필두로 글로벌 증시가 빠른 속도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 증시는 소외돼 있다.

    미국의 양호한 고용지표와 중국의 대규모 부양책, 완화된 반도체 고점론에도 증권가는 우리 증시 반등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7일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실적발표 시즌과 매크로 환경이 맞물려 한국 주식시장도 10월 반등할 수 있지만 일시적 현상으로 봐야 한다"며 "한국 주식시장이 크게 반등할 때는 한국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오를 때인데, 지금은 수출 증가율이 내려가고 있어 증시 반등 폭을 제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글자크기 설정

미국 고용상승·중국 경기부양 훈풍

한국 증시 9월 -0.4% 수익률 기록

내수부진·수출 둔화 증시 제약요인

국회선 반도체법·금투세 등 낮잠만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꼴찌였던 중국 증시까지 오르는데 왜 한국 증시만 이럴까요."

중국을 필두로 글로벌 증시가 빠른 속도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 증시는 소외돼 있다. 미국의 양호한 고용지표와 중국의 대규모 부양책, 완화된 반도체 고점론에도 증권가는 우리 증시 반등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7일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실적발표 시즌과 매크로 환경이 맞물려 한국 주식시장도 10월 반등할 수 있지만 일시적 현상으로 봐야 한다"며 "한국 주식시장이 크게 반등할 때는 한국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오를 때인데, 지금은 수출 증가율이 내려가고 있어 증시 반등 폭을 제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영원 흥국증권 연구원도 "최근 반도체 수출 성장률이 둔화(7월 50.1%→8월 38.3%→9월 36.7%)되며 업황 전환 논란에 휩싸인 상황"이라며 "주요 수출 대상인 중국 비중이 낮아지고(2023년 2월 44.9%→2024년 8월 33.4%) 비메모리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급락한 글로벌 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가 걷히고 마이크론 실적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발언으로 반도체 투자 심리가 살아나며 반등 중이다. 지난 9월 4일 대비 10월 4일 미국 나스닥종합(6.2%), S&P500(+4.2%), 다우산업(3.4%) 등 3대 지수와 일본 닛케이225(4.3%) 지수가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장기간 침체돼 있던 중화권 증시도 금융당국의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한 달 새 중국 상하이종합(19.8%, 국경절 연휴 휴장 전인 9월 30일까지 기준), 홍콩 항셍(30.2%) 지수가 급등하고 있다.

한국 증시만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9월 4일부터 10월 4일 사이 마이너스 수익률(-0.4%)을 기록했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와 반도체 업황·실적 불안 심리가 완화한 이후에도 기업 이익과 맞물린 수출 실적의 성장률이 꺾이면서 완만한 반등세도 보여 주지 못하는 형국이다.

이 연구원은 "반도체 외 전 산업 수출 증가율도 낮아져 반도체 성장을 대체하지 못하고 전체 수출 증가율 둔화로 이어졌다"며 "한국 경제가 부진한 내수로 성장이 제한된 상황이며 이를 반영한 한국 주식시장이 해외 시장에 뒤처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수출 증가율 둔화는 증시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중국과 달리 한국에선 금융당국 정책과 정치권의 입법을 통한 증시 상승 동력 확보도 쉽지 않다.

앞서 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 목표로 우량 기업을 중심으로 한 '코리아 밸류업 지수'가 발표됐다. 그런데 이를 산출하기 시작한 9월 30일부터 지난 4일까지 3거래일간 외국인·기관 투자자는 지수 구성 종목 100개를 1조7000억원 이상 순매도할 만큼 투자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국회에서는 반도체 산업에 정부가 직접 보조금을 지원하도록 하는 '반도체특별법' 입법을 여당이 추진하고 있지만 '대기업 특혜론'을 제기하는 야당 측 반대로 신속한 통과가 어려운 상황이다.

시행·유예·폐지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금융투자소득세 또한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남아 있다. 석 달 내에 소득세법이 개정되지 않으면 2025년 1월부터 금투세 과세가 시작되는데 더불어민주당 당론은 여전히 확정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