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74주년을 맞은 25일 여권에서는 '핵무장론'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와 북·러 조약 체결로 러시아가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사실상 용인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안보 이슈가 급부상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나경원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제는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합니다"라는 한 줄 메시지를 남기며 가장 먼저 '핵무장론'을 띄웠다.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여권 인사들도 나 의원의 주장에 동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새미준' 강연에서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소형·경량화했다"며 "우리가 핵을 갖지 않으면 핵 그림자 효과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페이스북에 "북핵 해법은 남북 핵균형 정책뿐"이라며 "김일성이 스탈린에게 지원을 약속 받고 남침한 6·25처럼, 김정은이 푸틴에게 지원 약속을 받고 무엇을 하려는 건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반면 나 의원을 제외한 다른 3명의 당권주자들은 '핵무장론'을 놓고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히며 우려를 표했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후보 등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안보 강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면서도 "지금 단계에서 바로 핵무장으로 가면 국제사회 제재를 받고 국민들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속도조절을 주장했다.
한 전 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농축재처리기술 확보 등을 통해 핵무장 잠재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 후 핵무장을 시도한 것은 북한이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도 페이스북에 "지난해 한·미 양국은 워싱턴 선언을 통해 '핵우산 강화' 성과를 얻었다"며 "지금은 핵무장에 앞서, 워싱턴 선언의 실효성 확보를 통해 대북 핵 억제력을 강화할 때"라고 적었다.
윤상현 의원은 국회에서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와 면담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지키는 한도 내에서 한반도 영해 밖에 핵무기를 탑재한 잠수함을 상시 배치하고 한·미 간 핵 공유 협정을 맺는 게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 유지가 공동이익에 부합한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윤 의원과 면담한 싱 대사는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문제에 대한 우리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