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키옥시아 낸드 가동률 100%...삼성·SK하닉은 인위적 증산 신중론

2024-06-18 16:2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일본 낸드플래시 제조사 키옥시아가 채권 은행으로부터 신규 투자를 받으며 인위적인 낸드 증산에 나섰다.

    올 1분기 기업용 SSD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가 77.8%를 차지하고 있고 키옥시아 점유율은 8.7%에 불과하다.

    키옥시아의 증산으로 3분기 이상 지속되고 있는 낸드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일 것이란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 글자크기 설정

기업공개 앞두고 양대 낸드 팹 가동률 끌어올려

삼성·하닉은 평균판매단가 개선과 재고관리 집중

인위적 증산 재고 부담 위험 커...낸드 상승세 꺾을 가능성도

사진교도통신
[사진=교도통신·연합뉴스]

일본 낸드플래시 제조사 키옥시아가 채권 은행으로부터 신규 투자를 받으며 인위적인 낸드 증산에 나섰다.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낸드 가격 상승이라는 호재에도 인위적인 증산에는 신중한 입장이다.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키옥시아는 6월부터 미에현 욧카이치 공장과 이와테현 기타카미 공장 가동률을 100%로 끌어올렸다. 반도체 다운턴(불황)을 맞이해 2022년 10월 30% 이상 감산 결정을 한 후 약 2년 만에 증산이다.
키옥시아가 이렇게 인위적인 증산에 나서는 이유는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매출·영업이익 등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함이다. 키옥시아는 올 1분기 낸드 시장 회복세에 기대 여섯 분기 만에 흑자전환했다. 이는 서버를 중심으로 낸드 업황이 정상화되면서 낸드 가격이 지속 상승한 것에 따른 효과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2분기 낸드 가격은 전분기 대비 13~18% 상승했다.

키옥시아는 최근 주요 채권 은행으로부터 5400억엔 규모 대출금 만기 연장과 2100억엔 규모 신규 신용한도(추가대출)를 받았다. 낸드 치킨게임에서 버틸 재정적 여력을 확보한 것이다.

키옥시아의 대주주인 베인캐피털은 지난 2020년 IPO를 추진했지만 PC·서버·모바일 낸드 업황 악화로 적자 규모가 커지면서 미국 웨스턴디지털과 합병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반대 등으로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 합병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짐에 따라 지난 4월부터 IPO를 다시 추진하며 독자 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키옥시아와 달리 아직 인위적인 증산은 없다는 입장이다. 공장 가동률은 정상화하되 고부가가치 '기업용 SSD(eSSD)'와 '재고 관리'에 주력하려는 판매 전략이다. 일례로 삼성전자의 주력 낸드 팹인 시안 공장은 현재 70% 수준 가동률을 보이고 있고 하반기에는 80%대로 상승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올 1분기 컨콜에서 "메모리 사업은 비트 출하량 확대보다 평균판매단가(ASP) 개선으로 수익성 확보에 주력했다"며 "2분기에도 시장 전반 가격 상승 추이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1분기와 동일한 기조로 사업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김우현 SK하이닉스 최고재무책임자(CFO)도 올 1분기 컨콜에서 "올 1분기 계절적 수요 약세 상황에서 실수요 중심으로 대응을 했다"며 "SK하이닉스 메모리 완제품 재고는 보수적인 판매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이 생산량을 상회하면서 D램·낸드 모두 감소했다"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에선 인위적인 증산으로 키옥시아의 재고 부담이 한층 커지며 회사 재정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다. 대형 클라우드 업체와 빅테크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기업용 SSD와 달리 키옥시아가 주력하는 소비자용 SSD는 인공지능(AI) PC가 아직 눈에 띄는 수요 증가를 만드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올 1분기 기업용 SSD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가 77.8%를 차지하고 있고 키옥시아 점유율은 8.7%에 불과하다. 키옥시아의 증산으로 3분기 이상 지속되고 있는 낸드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일 것이란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