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건 돌파한 ELS 합의…하락하는 H지수 '협상 변수'로

2024-06-02 16: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합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은 현재 홍콩 H지수 ELS 손실 관련 총 5323건에 대해 자율배상 협상을 마쳤다.

    상품을 가장 많이 판매한 KB국민은행은 자율배상 협의를 본격화한 지난달 27일부터 약 일주일간 3440건에 대해 합의를 성사했다.

  • 글자크기 설정

국민銀 일주일 새 '3440건' 합의…'6300선'까지 떨어진 H지수에 손실률↑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본점 앞에서 홍콩지수ELS피해자모임 회원들이 대국민 금융사기 규탄 집회를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본점 앞에서 홍콩 H지수 ELS 피해자모임 회원들이 '대국민 금융사기 규탄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합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 1만건 이상 합의에 이를 수 있을 전망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홍콩 H지수가 다시 하락하며 향후 협상에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은 현재 홍콩 H지수 ELS 손실 관련 총 5323건에 대해 자율배상 협상을 마쳤다. 상품을 가장 많이 판매한 KB국민은행은 자율배상 협의를 본격화한 지난달 27일부터 약 일주일간 3440건에 대해 합의를 성사했다. 이전 실적 129건을 포함하면 총 3569건에 대해 배상을 완료했다.
 
다른 은행도 자율배상 합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한은행은 현재까지 합의를 992건 도출했고, NH농협은행은 지난달 21일 자율배상 조정 신청을 받기 시작해 556건에 대해 배상금을 지급했다. 또 하나은행은 이달 약 3000건에 대해 배상을 동시 진행한다. 판매 잔액이 가장 적은 우리은행도 지난 4월 첫 배상금 지급 이후 합의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 상반기 1만건 이상 합의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다만 향후 만기가 도래할 ELS 계좌 협상에 있어 최대 변수는 H지수로 꼽힌다. 지난달 중순 6900선까지 올랐던 H지수가 최근 다시 6300선으로 내려오며 사실상 이와 연동된 ELS 손실률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만기 시점에 H지수가 적정 수준까지 오른다면 투자자는 이익을 내고 상환할 수도 있다.
 
이른바 ‘녹인(Knock-in·원금손실 구간)’ 조건이 붙은 ELS 계좌는 대체로 H지수가 가입 당시대비  70%, 녹인 조건이 없는 ELS 계좌는 65%를 넘어야 이익을 받고 상환할 수 있다고 금융권은 보고 있다. 녹인은 가입 기간에 한 번이라도 기초자산 가격이 가입 시점 대비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특히 올해 8월 이후부터는 H지수가 6500선만 넘으면 5대 은행의 만기 도래 계좌 대부분이 손실 없이 상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H지수는 2021년 8월 최고점을 찍은 후 급락했고 그만큼 올해 8월 이후 만기 도래 계좌의 이익 분기점도 낮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