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첫 중범죄자 대통령' 불명예…"진짜 판결은 11월에"

2024-05-31 08:03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역사상 형사재판에서 유죄를 인정받은 첫 전직 대통령이란 불명예를 안게 됐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성 추문 입막음 돈' 의혹 사건을 다룬 형사재판의 배심원단은 30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제기된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라고 평결했다.

    뉴욕 맨해튼 주민 12명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은 이날 오후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에서 심리를 마친 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받는 34개 범죄혐의에 대해 만장일치로 모두 유죄라고 판단했다.

  • 글자크기 설정

트럼프 "나는 무죄"…항소 전망

바이든 "투표장서 트럼프 몰아내자"

판사, 오는 7월 11일 형량 선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역사상 형사재판에서 유죄를 인정받은 첫 전직 대통령이란 불명예를 안게 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진짜 판결은 11월 대선에서 내려질 것”이라며 끝까지 대선에 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유죄 평결을 기다린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을 막을 방법은 투표뿐이라며 유권자들에게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성 추문 입막음 돈' 의혹 사건을 다룬 형사재판의 배심원단은 30일(현지시간)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제기된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라고 평결했다.
 
뉴욕 맨해튼 주민 12명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은 이날 오후 뉴욕 맨해튼 형사법원에서 심리를 마친 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받는 34개 범죄혐의에 대해 만장일치로 모두 유죄라고 판단했다. 이로써 트럼프 전 대통령은 형사재판에서 유죄를 인정받은 첫 전직 미국 대통령이 됐다. 뉴욕타임스(NYT)는 배심원의 평결이 내려진 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무표정한 얼굴로 앉아 있었다고 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배심원단의 평결 이후 법원 앞에서 “나는 무죄이며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이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며 부패한 판사에 의한 조작된 재판이다. 진짜 판결은 11월 대선에서 내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모든 사람이 이곳에서 벌어진 일을 알고 있다"며 "우리는 잘못된 일을 하지 않았다. 나는 이 나라를 위해 싸울 것이다. 헌법을 위해 싸울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우리 나라 전체가 지옥으로 가고 있다. 이 모든 일이 정적을 상처 입히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에서 행해졌다"면서 "우리는 마지막까지 싸울 것이고 승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유죄 평결 직후 소셜미디어 엑스(X)에 "트럼프를 백악관에서 몰아낼 방법은 단 하나뿐"이라며 "투표장에서"라고 적었다. 이어 "우리 캠페인(선거운동)에 오늘 기부하라"며 캠프 후원 링크도 첨부했다.
 
재판의 담당 판사인 후안 머천 판사는 오는 7월 11일에 형량을 선고하는 판결에 나선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대 징역 4년형을 선고받을 수 있으나, 형량이 더 짧거나 벌금 또는 집행유예를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트럼프 전 대통령을 공화당 대선 후보로 지명하는 공화당 전당대회(7월 15~18일)에 임박한 시점에 형량이 결정되는 만큼,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시장의 관심이 크다. 외신은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이 곧바로 항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사건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기소된 형사재판 4건 중 하나다. 나머지 재판들은 절차상의 문제로 지연되고 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직 성인영화 배우 스토미 대니얼스의 성관계 폭로를 막기 위해 개인 변호사였던 마이클 코언을 통해 13만 달러(약 1억7000만원)를 지급한 뒤 해당 비용을 법률 자문비인 것처럼 위장해 회사 기록을 조작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검찰은 2016년 미 대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이러한 행위를 저질렀다는 점에서 중범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고, 배심원단은 이를 받아들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