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사일 발사에 한·미·일 논의..."추가 도발 철저히 대비"

2024-05-30 14:03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한·미·일 3국이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발사에 대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이준일 외교부 한반도정책국장이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및 하마모토 유키야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심의관과 3자 유선 협의를 가졌다"며 "북한의 SRBM 추정 비행체 다수 발사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3국 대표는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다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며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고 규탄했다.

  • 글자크기 설정

"한반도와 국제사회 평화·안정 심각히 위협"

외교부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외교부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한·미·일 3국이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발사에 대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이날 "이준일 외교부 한반도정책국장이 정 박 미국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및 하마모토 유키야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 심의관과 3자 유선 협의를 가졌다"며 "북한의 SRBM 추정 비행체 다수 발사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3국 대표는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다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며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고 규탄했다.

아울러 대표들은 향후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나가는 동시에 굳건한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을 바탕으로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이 국장은 "최근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탄도미사일 발사 이외에도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위치정보시스템(GPS) 전파 교란 등 우리에 대한 다양한 도발을 감행하고 있다"며 "그 어떠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를 포함한 북한의 다양한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고 이에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동해상으로 SRBM 10여 발을 무더기로 발사했다. 지난 27일 밤 정찰위성 2호기를 쏘아 올린 후 사흘 만에 이뤄진 무력도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