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부는 외풍…4대 금융지주 외인 지분율 역대 최고

2024-05-20 10:17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4대 금융지주 외국인 지분율 평균이 60%를 넘어서면서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하나금융은 68.6%에서 70.1%로, 우리금융은 37.9%에서 42.5%로 외국인 지분율이 각각 1.5%포인트, 4.6%포인트 확대됐다.

    이 기간 전체 코스피 시장의 외국인 지분율도 올랐지만, 18.8%에서 19.8%로 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쳐 금융지주의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 글자크기 설정

17일 장 마감 이후 62.7%…작년 말보다 3.1%p↑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4대 금융지주 외국인 지분율 평균이 60%를 넘어서면서 역대 최고 수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사들의 주주환원 강화 정책,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등에 따른 기대감으로 매수세가 강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 장 마감 후 KB·신한·하나·우리 등 국내 4대 금융지주의 외국인 지분율 평균은 작년 말(59.6%)보다 3.1%포인트 높은 62.7%로 집계됐다. 이는 4대 금융지주가 모두 상장이 완료된 2019년 2월 이후 최고치다.

이 기간 회사별 외국인 지분율은 KB금융이 72.0%에서 76.8%로 4.8%포인트, 신한금융이 60.2%에서 61.2%로 1%포인트 올랐다. 또 하나금융은 68.6%에서 70.1%로, 우리금융은 37.9%에서 42.5%로 외국인 지분율이 각각 1.5%포인트, 4.6%포인트 확대됐다.

이 기간 전체 코스피 시장의 외국인 지분율도 올랐지만, 18.8%에서 19.8%로 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쳐 금융지주의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이처럼 외국인 지분율이 늘어난 주요 원인으로 금융권은 주주환원 강화 정책을 꼽는다. 주요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금융권이 주주환원을 강화하면서 높은 배당 수익률 등을 노린 외인 투자자들의 매수가 늘었다는 것이다. 국내 금융지주사들은 주주환월율을 높이기 위해 자사주 매입소각과 주당배당금 등을 확대하고 있다.

한편 이에 더해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이후 금융주가 수혜를 받을 것이란 시장의 분석도 외국인 매수세를 부추긴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주는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직후부터 배당 성향이 높고 주식 가치가 저평가됐다는 시각이 강하다는 이유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