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LG전자 대표 "AI 인재 영입 위해 연봉 100만 달러 가능"

2024-05-12 13:56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왼쪽 둘째)가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서 열린 해외 인재채용 프로그램 'LG전자 북미 테크 콘퍼런스'를 주관하며 참석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인공지능(AI)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는 조주완 LG전자 대표가 AI 인재 영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 대표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국 특파원 대상 간담회에서 "AI 인재 영입을 위해 연봉 100만 달러를 줄 수 있고, 나보다 연봉을 더 받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해외 우수인재 채용프로그램 주관

"숫자 아닌 질적 중량급 인재 필요"

"7억대 제품, AI 가속화 무기 될 것"

조주완 LG전자 대표왼쪽 두번째가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서 열린 해외 인재채용 프로그램 LG전자 북미 테크 콘퍼런스를 주관하며 참석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LG전자
조주완 LG전자 대표(왼쪽 둘째)가 1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서 열린 해외 인재채용 프로그램 'LG전자 북미 테크 콘퍼런스'를 주관하며 참석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LG전자]
인공지능(AI)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는 조주완 LG전자 대표가 AI 인재 영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조 대표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국 특파원 대상 간담회에서 "AI 인재 영입을 위해 연봉 100만 달러를 줄 수 있고, 나보다 연봉을 더 받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약 1주일 일정으로 미국 출장길에 오른 조 대표는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서 해외 우수인재 채용프로그램 '북미 테크 콘퍼런스'를 주관했다.

조 대표는 "회사의 연구위원이나 임원급, 적어도 팀을 이끌 수 있는 리더급을 채용할 계획을 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 중요한 트렌드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 시큐리티(보안) 쪽 리더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AI 인재의 채용 규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양적으로는 (AI 인재의) 진용을 갖췄다"면서 "숫자만 늘려가는 것은 아닌 것 같고, 이제 질적인 중량급 인재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또 빅테크에서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성과급 성과 보상 체계인 제한조건부주식(RSU) 등도 고려할 때가 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 빅테크를 중심으로 AI 기술 경쟁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LG전자도 AI 수혜주"라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가전사업은 전통적인 비즈니스로 여겨지지만, 우리는 축적된 많은 AI 기술을 갖고 있고, 무엇보다 수억대에 달하는 모수(판매 기기)가 있다"며 "이는 우리의 AI를 가속화하는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LG전자가 연간 판매하는 기기는 1억대로, 제품 수명을 7년으로 가정하면 현재 전 세계에 판매된 LG전자 제품은 7억대에 달한다. LG전자는 이들 제품을 통해 고객과 상호작용하며 확보해 온 사용 데이터가 7000억 시간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7억대의 제품이 AI의 고객 접점이자 플랫폼 역할을 하고, 막대한 시간의 데이터가 AI를 고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 대표는 "AI 반도체를 만들어야만 주목받고 잠재력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런 모수가 바로 빅테크가 우리에게 러브콜을 보내는 이유"라고 말했다.

LG전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AI를 활용한 업무 효율성 제고와 스마트 가전 개발을 위해 협업하고 있고,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는 확장현실(XR) 헤드셋을 함께 개발 중이다. 조 대표는 "과거에는 일방적으로 (빅테크에) 우리 제품을 사달라고 했다면 이제는 대등한 파트너로서 전략적인 얘기를 할 수 있는 관계로 나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오는 14일(현지시간)부터 시애틀에서 열리는 'MS CEO 서밋'에 참석해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도 만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조 대표는 "(나델라 CEO와 해야 하는) 깊은 얘기가 좀 있다"고 언급했다.

LG전자는 지난 1월 CES에서 공개한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가정 내에서 AI 기능을 묶은 스마트홈 패키지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조 대표는 "AI 에이전트가 이용자와 대화하며 여행 계획과 일정 등을 짜주는 등의 패키지를 하반기에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AI가 구현되는 스마트홈의 허브 역할은 TV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에서도 가능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IoT) 연결 기술을 가진 업체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 달러를 투자한 것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로봇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며 "로봇이 지금은 물류, 서비스 위주인데 앞으로는 가정용이나 웨어러블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로봇 시대(SDR)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