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육상자위대 부대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침략 전쟁인 태평양전쟁을 미화하는 용어인 '대동아전쟁'을 쓴 것과 관련해 외교부는 9일 "한·일 간 필요한 소통이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일본 자위대가 대동아전쟁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이미 동 표현이 삭제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동 용어가 일반적으로 정부의 공문서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미 이 표현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혔고, 또한 일본 측 스스로 관련 표현을 삭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육상자위대 제32보통과 연대는 지난 5일 엑스(X·옛 트위터)에 "32연대 대원이 대동아전쟁 최대 격전지 이오지마에서 개최된 일·미 이오지마 전몰자 합동 위령추도식에 참가했다"는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 "조국을 위해 존귀한 생명을 바친 일미 양국 영령의 명복을 빈다"고 밝히고 관련 사진을 첨부했다.
제32보통과 연대는 SNS에 대동아전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전날 "코멘트할 수 없다"며 언급을 피했다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대동아전쟁은 일본이 식민 지배한 아시아 권역 등을 하나로 묶은 이른바 '대일본제국'이 서구 열강에 맞서 싸웠다는 인식을 담고 있어 식민지 지배와 침략 전쟁을 정당화하는 의도를 담은 용어로 분류된다.
일본은 1940년 서구로부터 아시아를 해방한다는 명목으로 '대동아공영권 확립을 도모한다'는 외교 방침을 정하고, 이듬해인 1941년 12월 각의(국무회의)를 통해 태평양전쟁을 '대동아전쟁'으로 부르기로 했다.
일본이 패전한 후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최고사령부(GHQ)는 공문서 등에서 대동아전쟁이라는 표현을 쓰지 말라고 금지했다. 지금도 일본 정부는 공문서에 이 용어를 쓰지 않아 사실상 금기어로 인식되고 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일본 자위대가 대동아전쟁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이미 동 표현이 삭제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동 용어가 일반적으로 정부의 공문서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미 이 표현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혔고, 또한 일본 측 스스로 관련 표현을 삭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육상자위대 제32보통과 연대는 지난 5일 엑스(X·옛 트위터)에 "32연대 대원이 대동아전쟁 최대 격전지 이오지마에서 개최된 일·미 이오지마 전몰자 합동 위령추도식에 참가했다"는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 "조국을 위해 존귀한 생명을 바친 일미 양국 영령의 명복을 빈다"고 밝히고 관련 사진을 첨부했다.
대동아전쟁은 일본이 식민 지배한 아시아 권역 등을 하나로 묶은 이른바 '대일본제국'이 서구 열강에 맞서 싸웠다는 인식을 담고 있어 식민지 지배와 침략 전쟁을 정당화하는 의도를 담은 용어로 분류된다.
일본은 1940년 서구로부터 아시아를 해방한다는 명목으로 '대동아공영권 확립을 도모한다'는 외교 방침을 정하고, 이듬해인 1941년 12월 각의(국무회의)를 통해 태평양전쟁을 '대동아전쟁'으로 부르기로 했다.
일본이 패전한 후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최고사령부(GHQ)는 공문서 등에서 대동아전쟁이라는 표현을 쓰지 말라고 금지했다. 지금도 일본 정부는 공문서에 이 용어를 쓰지 않아 사실상 금기어로 인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