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지나 봄이 왔다. 자연도 사람도 각자 방식으로 봄을 맞이한다.
시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업을 해온 강서경 작가가 ‘봄의 산수화’ 같은 전시를 통해 생을 찬미한다.
강 작가 개인전 ‘마치 MARCH’가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 K3에서 개막했다. 힘차게 봄의 도래를 선언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는 ‘시간성’에 대한 고찰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했다.
시간은 강 작가의 전반적인 작업 세계를 관통한다. 그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2011년부터 시작해 가장 오래된 연작 중 하나인 ‘그랜드마더 타워(Grandmother Tower)’ 시리즈를 꼽을 수 있다.
강 작가는 2019년 본인 작업실에서 “할머니께서는 돌아가시기 직전까지도 너무 아름다우셨다. 제가 많이 존경하고 사랑하는 분이다. 할머니의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면서 ‘그랜드마더 타워(Grandmother Tower)’ 시리즈를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할머니 모습을 어떻게 하면 단순하게 시간의 덩어리로 만들 수 있을까’라는 고민 끝에 만들어진 작품이다.
강 작가 작품의 주요 개념인 ‘정(井)’과 ‘모라(Mora)’에도 시간이 담겨 있다. ‘정’은 조선시대 세종대왕이 창안한 유량악보인 ‘정간보(井間譜)’ 기호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바둑판처럼 생긴 정간보 안에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된 각 칸은 음의 길이와 높이를 나타낸다.
윤혜정 국제갤러리 이사는 “작가는 음이 연주되는 방식을 서술하는 이 사각의 틀을 개념적으로 번안해 회화 확장의 무대로 삼는다”며 “마치 땅속 깊이 파고든 우물과 같이 강서경은 각 ‘정’의 터전 위에서 다양한 시간의 층위를 쌓아 올리며 자신의 회화가 서술하는 시공간을 확장해 나간다”고 설명했다. 전통이라는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시점으로 소환했다.
언어학에서 ‘모라’는 음절 한 마디보다 짧은 단위를 칭한다. 자신의 회화를 시간을 담는 틀로 활용하는 강 작가에게 ‘모라’는 회화, 즉 서사가 축적될 수 있는 시간의 시각화된 단위를 뜻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모라-누하’ 연작은 시간성을 그리고자 하는 작가의 열망을 보여준다. 강 작가는 캔버스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그림을 그린다. 수평으로 눕힌 캔버스 위로 쌓아 올리는 물감은 캔버스의 네 옆면으로 흘러내린다. 각기 다른 물감이 흘러내린 흔적을 통해 시간의 층위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다.
‘모라-누하’ 연작은 오랜 시간 캔버스의 면면을 따라 흘러내려 밑으로 떨어지는 물감을 모아 종이에 비단의 층위를 덧대 완성한 작품이다. 개인의 일상을 축적한 ‘강서경의 일기’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전시된 ‘정’과 ‘모라’ 연작 중에는 가로 40㎝, 세로 55㎝인 작품이 많다. 이는 강 작가의 상반신 크기와 같다.
‘아워스-일’ 연작을 보면 강 작가의 회화가 둥근 나무 프레임 안에 들어 있다. 실을 꼬아 수놓은 나무 프레임에는 생(生)에 대한 작가의 예찬이 담겨 있다. 나무 프레임이 감싸고 있는 반투명한 비단은 자연의 색을 닮았다.
둥근 형태로 벽에 설치된 ‘아워스-일’ 연작 7개를 보면 뜨고 지는 해와 달이 떠오른다. 시간의 순환을 상징한다.
K3 천장과 바닥에는 작가의 새로운 조각군이 소개된다. 브론즈를 구부리고 표면을 두드려 제작한 신작 ‘산-아워스’는 공중에 낮게 매달려 있다. 꽃잎을 닮은 곡선 고리를 두른 ‘산-꽃’은 돌고 도는 시간의 순환을 상기시킨다.
현재 암 투병 중인 작가의 이번 전시에서는 봄의 생명력과 앞을 향해 나아가려는 의지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강 작가는 이화여대에서 동양화를, 이후 영국 왕립 미술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며 현재는 이화여대 동양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리움미술관(2023),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2019), 필라델피아 현대미술관(2018)에서 개인전을 개최했고 베니스 비엔날레(2019), 리버풀 비엔날레(2018), 광주비엔날레(2018, 2016) 등에 참여하며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을 받았다. 2013년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2018년 아트바젤 발루아즈 예술상을 수상했다. 전시는 오는 4월 28일까지.
시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업을 해온 강서경 작가가 ‘봄의 산수화’ 같은 전시를 통해 생을 찬미한다.
강 작가 개인전 ‘마치 MARCH’가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 K3에서 개막했다. 힘차게 봄의 도래를 선언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작가는 ‘시간성’에 대한 고찰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화했다.
시간은 강 작가의 전반적인 작업 세계를 관통한다. 그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2011년부터 시작해 가장 오래된 연작 중 하나인 ‘그랜드마더 타워(Grandmother Tower)’ 시리즈를 꼽을 수 있다.
강 작가 작품의 주요 개념인 ‘정(井)’과 ‘모라(Mora)’에도 시간이 담겨 있다. ‘정’은 조선시대 세종대왕이 창안한 유량악보인 ‘정간보(井間譜)’ 기호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바둑판처럼 생긴 정간보 안에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된 각 칸은 음의 길이와 높이를 나타낸다.
윤혜정 국제갤러리 이사는 “작가는 음이 연주되는 방식을 서술하는 이 사각의 틀을 개념적으로 번안해 회화 확장의 무대로 삼는다”며 “마치 땅속 깊이 파고든 우물과 같이 강서경은 각 ‘정’의 터전 위에서 다양한 시간의 층위를 쌓아 올리며 자신의 회화가 서술하는 시공간을 확장해 나간다”고 설명했다. 전통이라는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시점으로 소환했다.
언어학에서 ‘모라’는 음절 한 마디보다 짧은 단위를 칭한다. 자신의 회화를 시간을 담는 틀로 활용하는 강 작가에게 ‘모라’는 회화, 즉 서사가 축적될 수 있는 시간의 시각화된 단위를 뜻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모라-누하’ 연작은 시간성을 그리고자 하는 작가의 열망을 보여준다. 강 작가는 캔버스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그림을 그린다. 수평으로 눕힌 캔버스 위로 쌓아 올리는 물감은 캔버스의 네 옆면으로 흘러내린다. 각기 다른 물감이 흘러내린 흔적을 통해 시간의 층위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다.
‘모라-누하’ 연작은 오랜 시간 캔버스의 면면을 따라 흘러내려 밑으로 떨어지는 물감을 모아 종이에 비단의 층위를 덧대 완성한 작품이다. 개인의 일상을 축적한 ‘강서경의 일기’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전시된 ‘정’과 ‘모라’ 연작 중에는 가로 40㎝, 세로 55㎝인 작품이 많다. 이는 강 작가의 상반신 크기와 같다.
‘아워스-일’ 연작을 보면 강 작가의 회화가 둥근 나무 프레임 안에 들어 있다. 실을 꼬아 수놓은 나무 프레임에는 생(生)에 대한 작가의 예찬이 담겨 있다. 나무 프레임이 감싸고 있는 반투명한 비단은 자연의 색을 닮았다.
둥근 형태로 벽에 설치된 ‘아워스-일’ 연작 7개를 보면 뜨고 지는 해와 달이 떠오른다. 시간의 순환을 상징한다.
K3 천장과 바닥에는 작가의 새로운 조각군이 소개된다. 브론즈를 구부리고 표면을 두드려 제작한 신작 ‘산-아워스’는 공중에 낮게 매달려 있다. 꽃잎을 닮은 곡선 고리를 두른 ‘산-꽃’은 돌고 도는 시간의 순환을 상기시킨다.
현재 암 투병 중인 작가의 이번 전시에서는 봄의 생명력과 앞을 향해 나아가려는 의지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강 작가는 이화여대에서 동양화를, 이후 영국 왕립 미술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며 현재는 이화여대 동양화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리움미술관(2023),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2019), 필라델피아 현대미술관(2018)에서 개인전을 개최했고 베니스 비엔날레(2019), 리버풀 비엔날레(2018), 광주비엔날레(2018, 2016) 등에 참여하며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을 받았다. 2013년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2018년 아트바젤 발루아즈 예술상을 수상했다. 전시는 오는 4월 28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