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학기술·미래 인재 양성 아낌없는 투자를

2024-03-13 05: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지난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최우선 국정과제를 묻는 대국민 인식 조사를 했다.

    미국, EU 등 주요 선진국들은 '농업기술'을 전략적으로 투자할 분야로 간주해 국가 우선순위 R&D 예산 분야에 포함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국가 전략기술 투자 분야에는 농업기술이 포함되지 않아 식량주권 확보와 성장동력 강화를 위한 전 세계적 움직임에 역행하는 분위기다.

  • 글자크기 설정
박현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농수산학부 학부장사진농촌진흥청
박현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농수산학부 학부장. [사진=농촌진흥청]
지난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최우선 국정과제를 묻는 대국민 인식 조사를 했다.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꼴로 기초연구 지원과 인재 양성을 꼽았다. 같은 해 정부가 연구개발(R&D) 효율화 방안으로 내놓은 예산 삭감과 오버랩되며 참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학계는 적잖은 충격에 휩싸였고, 당장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젊고 우수한 인재들이 인건비 문제로 연구를 중단하거나 심할 경우 과학자로서의 삶과 꿈을 포기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들었다. 

정부도 이런 우려를 심각하게 받아들였는지 젊은 과학자 지원 예산을 지난해 5349억원에서 올해 8266억원으로 대폭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국가전략기술 위주의 특정 분야에 치우치는 것 같아 아쉬움을 남겼다. 특정 분야에 치중한 연구비 쏠림 현상은 국가 전체 산업의 균형발전을 기대하기 어렵게 한다. 미국, EU 등 주요 선진국들은 ‘농업기술’을 전략적으로 투자할 분야로 간주해 국가 우선순위 R&D 예산 분야에 포함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국가 전략기술 투자 분야에는 농업기술이 포함되지 않아 식량주권 확보와 성장동력 강화를 위한 전 세계적 움직임에 역행하는 분위기다.
 
우리나라가 50년 만에 괄목할 만한 경제적 도약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식량 자급 문제 해결이라는 밑거름이 있었다. 과기부 주관 국가연구개발 반세기의 최고 우수 성과로 선정된 ‘통일벼’ 개발로 이미 인정받은 사실이다.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분야에 우수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 R&D 연구인력은 2021년 기준 약 58만6000명 수준으로 공학 분야가 65.9%로 가장 많고, 농업은 1.9%로 가장 적다. 과기부 과학연감에 따르면, 농업 분야 연구인력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공학분야 다음으로 많았지만 2000년 이후로는 전 분야 중 가장 적은 상태를 못 벗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생명공학, 분자생물학 등 비교적 성과가 빠르게 나오는 분야에만 몰려 있어 걱정스럽다. 토양학, 식물병리학, 곤충분류학, 식물영양학 등 현장 중심 농업 기초·기반 분야의 대학교원은 각 20명 이하에 머물러 자칫 명맥마저 끊어질 위기에 있다. 물론 최근 과학기술 연구 추세가 전문 분야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지식 창출이라는 방향성을 가진 것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전문분야의 원천기술 없이는 융복합도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이다. 오랫동안 분야별로 축적되어 온 지식의 깊이와 경험에 따라 시너지가 날 수도 혹은 그 반대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단언컨대, 기초 없이는 응용 기술 성과도 만들어질 수 없다. 원천기술은 튼튼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오랜 기간 쌓아 올려진 금자탑과도 같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뤄 단기간에 세계에서 유례없는 경제 대국으로 진입했다. 그 원동력은 선진국의 기술을 모방하고 우리에 맞게 변화시킨 ‘캐치업 전략’ 덕분이다. 당시만 해도 글로벌 최고 기업이나 연구기관을 벤치마킹해 따라잡는 ‘패스트 폴로(팔로어)’ 전략이 통했으나 이 전략으로는 절대 1등이 될 수 없다. 다른 사람이 가보지 않은 분야를 개척하는 ‘퍼스트 무버’ 전략이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생존 전략이다. 

 농업 분야 과학기술 혁명을 이끌 퍼스트 무버는 결국 시대의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데 주저함이 없는 기초역량이 탄탄한 인재들이다. 이들이 결국 미래의 농업을 책임지고 유지할 버팀목이다. 농업과학기술 강국으로의 퀀텀 점프를 위해서라도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와 연구자의 성장을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그들의 꿈이 곧 우리나라 농업의 미래이며, 그들의 도전이 곧 농업혁신의 청사진이다. 불확실성의 시대, 농업기초학문과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만이 우리나라가 농업과학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