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북한 "해안포, 한국군 훈련 대응"...與野 '대북정책' 놓고 서로 비난

2024-01-05 21:16
  • 글자크기 설정

與 "가짜평화쇼 그만" vs 野 "강경일변도 대북정책 폐기"

5일 북한의 서해 해상 완충구역 해안포 사격으로 서해 북단 연평도 주민들이 대피소로 대피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5일 북한의 서해 해상 완충구역 해안포 사격으로 서해 북단 연평도 주민들이 대피소로 대피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5일 서북 도서 지역에서 해안포를 발사한 건 한국군 훈련에 대한 대응이라고 밝힌 가운데, 여야는 이를 비판하면서 각각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고 나섰다. 

문종형 국민의힘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정은 정권이 일방적으로 남북 군사합의를 파기하고 해상 사격 행위를 재개한 것으로 명백한 군사 도발"이라며 "문(재인) 정권 내내 '가짜평화'에 집착해서 북한에 일방적인 평화를 구걸했지만 돌아온 건 수차례의 미사일 도발과 무력도발"이라고 지적했다. 

문 상근부대변인은 "북한이 경의선 육로와 육로 인근 감시초소(GP) 일대에 지뢰를 다량 매설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한반도 평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던 경의선 철도 인근에 폭발물을 설치한 북한의 행위는 남북관계를 돌이킬 수 없는 수준으로 단절하겠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김도균 더불어민주당 국방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고 "윤석열 정부의 강경 일변도 대북정책이 한반도를 '9·19 군사합의' 이전 상황으로 되돌려놓았다"면서 "남북은 9·19 군사합의를 통해 가장 위험하고 민감한 서해북방한계선 일대에서의 군사적 충돌상황을 예방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이 남북 군사합의의 파기를 운운하고 끝내 효력정지를 하면서, 남북 간 접경지역 일대의 안전핀을 제거해버렸다"며 "강경 일변도 대북 정책을 폐기하고,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평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쯤까지 백령도 북쪽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쪽 등산곶 일대에서 200발 이상의 사격을 실시했다. 북한이 쏜 포탄은 대부분 서해 북방한계선(NLL) 북쪽에 있는 완충구역에 떨어져, 우리 국민과 군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한편 북한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백령도와 연평도에서 해안포를 발사한 건 새해 한국군 훈련에 대한 대응이라며, 이를 이유로 한국군이 도발하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 "해상실탄사격방향은 백령도와 연평도에 간접적인 영향도 주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개의 댓글
0 / 300
  • 봐라, 9.19 군사합의 무효화하고
    허구헌날 한미일 군사훈련한다고 북한을 위협한 결과가 어떠냐?
    접경지역 주민들 불안해서 살겠냐?
    서울과 경기도 북부는 불안하지 않느냐?
    방사포 사거리 내에 사는 국민이 1500만이 넘는다.
    대기업의 본사와 산업 시설은 어떠냐?
    우리 증시의 주가가 저평가 되는 요인 중의 하나가 이런 안보 불안이다.
    우리가 먼저 위협적인 군사 훈련과 사격을 해서 북풍을 기대하는 모양인데,
    국민들이 바보냐?
    이런 도발적 행태는 정권심판, 정권교체 열망으로 작용할 것이다.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1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