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하림 품으로...해진공 행보에 집중된 해운업계 이목

2023-12-19 05: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HMM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그룹이 선정됐다.

    해운업계는 HMM 민영화 이후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18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HMM의 채권단인 KDB산업은행과 해진공은 본입찰에서 6조4000억원을 제시한 하림을 우선인수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 글자크기 설정
HMM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그룹이 선정됐다. 해운업계는 HMM 민영화 이후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18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HMM의 채권단인 KDB산업은행과 해진공은 본입찰에서 6조4000억원을 제시한 하림을 우선인수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매각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산은과 해진공에는 각각 약 3조2000억원 수준의 대금이 입금될 예정이다. 

여기에 약 8000억원 가치를 지닌 영구채를 더하면 해진공은 HMM 민영화로 4조원대 현금성 자산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18년 해진공이 설립되면서 출자한 3조1338억원과 비교해 8000억원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해진공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총 3조4578억원을 HMM에 투입했다. HMM이 중간에 납입한 연 3%에 이자 수익과 일부 부채 상환을 제외해도 해진공은 HMM 매각으로 5000억원대 수익을 올리는 셈이다.
 
HMM 매각으로 확보한 자산의 향후 쓰임새를 두고는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진공 측은 향후 국적선사들의 경영안정 및 선대확보 지원, 항만·터미널 등 물류자산 투자지원 등에 해당 자금을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해진공이 설립 이후 2023년 9월 말까지 해운산업 지원을 위해 사용한 금액은 9조3481억원이다. 이 중 37%인 3조4578억원이 HMM에 투입됐다. 이를 두고 해진공의 존재 목적 자체가 HMM 지원에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해진공이 당장 4조원대 현금성 자산을 확보한다 해도 사용처를 찾기가 힘들 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해진공 측은 사실상 국내 유일의 국적 원양선사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면 과도한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해운업계에서는 해진공의 HMM 민영화 후 해진공을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해진공의 자산을 재분배해 정부와 국책은행으로 하여금 재투자를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 이유다.

현재 해진공 최대주주는 정부로 지분 53.1%를 보유하고 있다. 이어 산은이 22.3%, 한국수출입은행이 18.8%, 한국자산관리공사가 3.6% 갖고 있다.

반대 의견도 존재하는 데 해진공이 가진 해운산업 진흥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그 동안 HMM에 집중됐던 지원을 다각화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HMM 매각 지연 사태를 HMM에 집중된 지원금과 연결 짓는 시각도 나온다. 해수부와 해진공은 HMM 매각을 두고 "금융논리로 빠른 매각을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신중론'을 내놓으면서 '신속 매각'을 원칙으로 하는 산은과 대립하고 있다. 하림이 제시한 '영구채 전환 유예'를 두고도 산은은 긍정적인 반면 해진공은 반대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진=HMM]
[사진=HMM]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