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텍부터 중견 제약사까지 'AI 신약 개발' 박차

2023-11-09 10:55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신약개발 기술 상용화가 한창이다. 바이오텍부터 중견 제약사들까지 AI 플랫폼을 확보해 신약 파이프라인 발굴에 나섰다.

AI는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신약 후보물질을 탐색하거나, 임상시험 데이터를 관리해 신약 개발 기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글로벌 AI 신약 개발 시장은 매년 45.7% 성장률을 보여 2027년 40억350만달러(5조2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9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 삼진제약, 파로스아이바이오 등이 자체 AI 플랫폼과 신약 후보물질을 연구 중이다.

최근 대웅제약은 다국적 제약사인 머크 라이프사이언스와 AI 플랫폼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머크는 ‘신시아’와 ‘AMS’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대웅제약은 자체 개발 중인 플랫폼에 이들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할 계획이다. 

신시아는 신약 후보물질의 합성 방법과 합성 경로를 제시하는 AI 기반 소프트웨어다. AMS는 신시아가 제시한 경로에 따른 화학 물질 합성을 돕는 플랫폼이다. 

삼진제약은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 아론티어와 AI 기반 면역항암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삼진제약은 아론티어가 보유한 플랫폼 ‘AD3’를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검증하고 상용화할 계획이다.

AD3은 AI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설계하거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아론티어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을 통해 개발, 지난해 베타 서비스를 개시했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자체 구축한 AI 플랫폼인 ‘케미버스’를 활용해 도출한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케미버스는 신약 후보물질 도출, 적응증 제안, 단백질과 약물의 결합력 예측 등을 수행한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케미버스를 활용해 발굴한 ‘PHI-101’과 ‘PHI-501’ 등을 암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PHI-101는 현재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로 글로벌 임상 1b상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발성 난소암 치료제로 1상을 진행 중이다. PHI-501는 고형암 치료제로 내년 중 1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계획이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기술은 아직까지 초기 단계지만, 점차 대부분의 기업들이 신약 개발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AI를 도입할 것”이라며 “자체 AI 플랫폼을 구축하거나 공동연구 협약이 활발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