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급등에 '인플레 공포' 수면 위...한은 금리 인상 고민

2023-09-20 16:00
  • 글자크기 설정

국제유가 연중 최고치...한국 등 주요국 '고물가' 우려에 비상

주요국 '슈퍼위크'서 매파적 기조 확산…내달 금통위 변수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8월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8월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국제 유가가 고공 행진을 이어가면서 국내를 비롯한 주요국의 물가 상승 우려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주 주요국이 정책금리를 결정하는 가운데 통화긴축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한국은행 역시 기준금리에 대한 고민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10월 인도분 미국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19일 기준)은 배럴당 91.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 유가는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감산 연장에 따른 공급 우려로 연일 상승세를 거듭한 데 이어 전날에는 작년 11월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역시 장중 배럴당 93.74달러까지 치솟았다. 차익 실현 매물 확대로 마감 시세가 전일 대비 소폭 하락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배럴당 100달러를 위협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제 유가 상승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다. 기름값이 제품 생산은 물론 서비스 가격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고물가에 대한 우려가 깊다. 최근 국내 생산자물가가 두 달 연속 상승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한은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9% 오른 121.16(2015년=100)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7월(0.3% ↑)보다 상승 폭이 커진 것이다. 한은은 "국제 유가 급등과 폭우 등 기상 악화가 생산자물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생산자물가는 1~2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물가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유가 급등에 따른 물가 관리 이슈가 확산되면서 금리 조정을 앞둔 주요국에서도 분위기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달 말까지만 하더라도 통화긴축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으나 물가 안정화 차원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기조가 강화 또는 장기화할 것이라는 시각이 커졌다.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일관했던 일본 역시 긴축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는 이달 초 현지 언론과 인터뷰하면서 "임금 인상을 동반한 물가 상승이 지속된다는 확신이 들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해제할 수도 있다"고 매파적 발언을 내놨다.

이러한 상황 속에 다음 달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있는 한은은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 등 주요국과 금리 역전차가 환율 등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통화정책에 있어 적기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달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미국 금리정책이 어떻게 될지, (통화긴축이) 얼마나 오래갈 것인지에 따라 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변동성이 커지면 물가도 같이 높아질 수 있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