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로 메워야 할 적자성 국가채무 내년 800조 육박…7년 새 2배로

2023-09-03 13:16
  • 글자크기 설정

내년 적자성 국가채무 792조…2017년의 2.1배

이자지출 5년간 147조…연평균 11% 증가 전망

사진기획재정부
[사진=기획재정부]

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적자성 국가채무가 내년 8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성 채무는 채무에 대응하는 자산이 없거나 부족해 향후 세금 등을 재원으로 상환해야 하는 채무로, 일반회계 적자를 메우기 위해 발행하는 국채가 대표적이다.

3일 정부가 2024년도 예산안과 함께 마련한 '2023∼2027년 국가채무관리계획'에 따르면 내년 적자성 채무는 792조4000억원으로 올해 예산(721조3000억원)보다 9.9% 늘어난다.
적자성 채무는 2017년 374조8000억원에서 △2018년 379조2000억원 △2019년 407조6000억원 △2020년 512조7000억원 △2021년 597조5000억원 △지난해 676조원 등으로 빠르게 늘었다.

내년 적자성 채무 전망치는 792조4000억원으로 7년 전인 2017년의 2.1배 수준이다.

전체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다.

적자성 채무의 비중은 지난해 63.3%에서 올해 63.6%, 내년 66.2%, 2025년 66.7%, 2026년 67.6%로 오르다가 2027년에는 68.3%까지 높아질 것이라는 게 정부의 전망이다.

국가채무가 늘면서 매년 이자로 지출해야 하는 돈도 늘고 있다.

의무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지출인 이자 지출은 올해 22조9000억원에서 내년 27조4000억원, 2025년 29조6000억원, 2026년 32조3000억원, 2027년 34조8000억원으로 연평균 11.0% 증가할 전망이다.

이 중 주택도시기금 국공채 이자, 우체국예금특별회계 지급이자 등을 제외하고 정부의 국채 발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는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국채이자다.

정부는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적자성 채무 증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공자기금 국채이자가 올해 19조2000억원에서 2027년 30조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연도별 공자기금 국채이자 지출 전망은 △올해 19조2000억원 △내년 22조5000억원 △2025년 24조7000억원 △2026년 27조4000억원 △2027년 30조원이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공자기금 국채이자로 123조8000억원, 전체 국가채무 이자 비용으로는 147조원을 지출하는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