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푸틴-인도 모디 전화통화…"브릭스ㆍ에너지ㆍ우주산업 협력 논의"

2023-08-29 11:23
  • 글자크기 설정

인도, 러시아 원유 수입 등 교역 확대 추세




 
푸틴 화상으로 브릭스 기자회견 참석
    모스크바 로이터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화상으로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푸틴 대통령은 예브게니 프리고진 사망 사건에 대한 언급 없이 서방에 대한 비난을 되풀이했다 20230824
    clynnkimynacokr2023-08-24 192756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화상으로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전화 통화로 양국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브릭스(BRICS) 관련 협의와 양국의 에너지·물류·우주산업 협력 관련 내용이 주된 의제였다.

크렘린궁은 28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푸틴 대통령과 모디 총리가 지난 24일 폐막한 브릭스 정상회의 합의 내용과 내달 인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과 모디 총리가 브릭스 회원국 확장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다음달 9~10일 인도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브릭스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랍에미리트(UAE), 아르헨티나, 이집트, 에티오피아 등 신규 회원국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 이는 주요 7개국(G7) 등 서방 중심 국제 질서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올해 브릭스 정상회의에서는 회원국 참가 논의 등 중요 사안이 논의됐음에도 푸틴 대통령은 직접 참석하지 않았다. 현재 푸틴 대통령은 국제형사재판소(ICC)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태다. 남아공은 국제형사재판소를 창설한 로마 조약의 서명으로 푸틴 대통령이 참석하면 체포할 의무가 있다. 이 같은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 푸틴 대통령은 화상으로 참여했다. 

러시아와 인도 양국 정상은 대규모 에너지 프로젝트 협력과 국제 운송 물류 인프라 확장을 위해 협력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서방 국가가 러시아에 유가 상한제를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를 대규모 수입하고 있다. 아울러 양국은 교역도 확대하고 있다. 지난 1분기 양국의 교역량은 전년 대비 4배 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은 우주 분야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지난 23일 인도 달 탐사선 찬드리안-3이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한 바 있다. 이날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은 모디 총리에게 찬드리안-3 착륙을 축하한다고 전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