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미래에셋·NH증권 현장검사…랩·신탁 '채권 돌려막기' 점검

2023-08-14 21:01
  • 글자크기 설정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금융감독원이 오는 16일부터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을 대상으로 증권업계 관행인 '채권 돌려막기' 검사에 착수한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7월 말∼8월 초 검사 휴지기를 마치고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 현장 검사에 나가 일임형 자산관리 상품인 채권형 랩어카운트·특정금전신탁(신탁) 운용 실태를 점검한다. 채권시장 관행으로 여겨지는 자전거래나 파킹거래 등 불건전 영업 행위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으로 알려졌다.

자전거래는 동일한 운용사가 2개 이상의 내부 계좌를 이용해 한쪽이 펀드를 매도하면 다른 한쪽이 이를 매수하는 거래다. 통상 거래량을 부풀리기 위해 사용된다. 파킹거래는 장부에 곧바로 기록하지 않고 펀드매니저가 직접 매수하거나 다른 곳에 매도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말 대규모 환매 요청이 발생하면서 일부 증권사가 고객의 손실을 보전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지난 5월 KB증권과 하나증권에 대해 검사를 실시했다.

금감원은 증권사가 단기 투자 상품인 랩·신탁 계좌에 유치한 자금으로 장기 채권에 투자하는 '만기 불일치' 전략으로 이른바 채권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달 3일 증권사 랩·신탁 운용 실태 점검 현황을 발표하면서 일부 증권사가 거래량이 적은 장기 기업어음(CP) 등을 편입하는 만기 미스매칭 전략을 쓰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오는 16일부터 메리츠증권을 대상으로도 검사에 착수해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운용 실태를 점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