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R&D)이 한창인 가운데 2030년까지 리튬이온배터리(LIB)의 시장점유율이 압도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4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LIB의 글로벌 공급량은 올해 687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2943GWh로 급증해 배터리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전고체전지의 점유율은 약 4%대로 전망된다
전고체배터리는 리튬이온을 이동할 수 있게 돕는 전해질을 액체 대신 고체로 대체해 분리막이 필요없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분리막의 입지는 굳건할 것으로 보인다.
전고체전지는 폭발이나 발화 우려가 낮아 안전성이 우수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꿈의 배터리'로도 불린다.
이에 배터리 기업들은 앞다퉈 전고체전지 개발에 나섰으며, 정부도 전고체전지 개발을 위한 R&D, 세제·금융 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
다만 전고체전지는 양산을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또 주요 소재가 고가의 금속으로 이뤄져 배터리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24일 에너지전문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LIB의 글로벌 공급량은 올해 687기가와트시(GWh)에서 2030년 2943GWh로 급증해 배터리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전고체전지의 점유율은 약 4%대로 전망된다
전고체배터리는 리튬이온을 이동할 수 있게 돕는 전해질을 액체 대신 고체로 대체해 분리막이 필요없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분리막의 입지는 굳건할 것으로 보인다.
전고체전지는 폭발이나 발화 우려가 낮아 안전성이 우수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꿈의 배터리'로도 불린다.
다만 전고체전지는 양산을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또 주요 소재가 고가의 금속으로 이뤄져 배터리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전고체전지는 2030년이 돼야 전기차 실증이 이뤄질 것이라고 SNE리서치는 전망했다.
SNE리서치는 "배터리 시장은 장기간 LIB 위주의 시장으로 전개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동박, 분리막 같은 기존 LIB의 공급사슬이 장기간 주류를 차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