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새마을금고의 수신(예·적금) 자금 이탈세가 진정됐다고 판단되는 즉시, 근본적인 건전성 강화 및 관리 체계 재정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태를 촉발한 원인이 6%까지 치솟은 연체율인 만큼, 부실채권 매각과 연체율 감축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연체율 상위 금고 100곳에 대한 감축 목표치 및 이행 현황을 주 단위로 점검한다. 1조2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NPL) 매각도 추진한다.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손자회사인 MCI대부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각각 7000억원, 5000억원씩 매각한다. 이 경우, 연체액으로 잡히는 부실채권을 털어내 연체율을 낮출 수 있다.
부실금고엔 특별검사를 거쳐 건전성을 높인다는 복안이다. 올해 경영개선 조치를 받은 새마을금고는 모두 36곳이다. 이 중 33곳은 경영실태평가에서 자본 적정성 또는 자산 건전성이 4등급(취약) 또는 5등급(위험)으로 떨어지거나, 총자산대비 순자본비율이 4%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1294곳의 지역 금고 중 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100곳에 대한 특별검사(30곳)와 점검(70곳)도 실시한다. 전체 중 8%에 해당하는 금고를 집중 관리해 연체율을 빠르게 끌어내리겠다는 전략이다. 결과에 따라 다른 금고와의 합병 명령을 내리거나, 부실 사태 책임 임원을 직무 정지시키는 등 고강도 처분을 내릴 방침이다.
이번 사태를 촉발한 지점 중 하나인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관리를 위해선 지난 4월부터 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합동 전담조직(TF)을 구성해 개별 금고 및 PF·공동대출 사업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여기에 더욱 속도를 내기 위해 ‘범정부 새마을금고 실무 지원단(가칭)’을 신설키로 했다. 행안부 외에도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감원, 예금보험공사 등의 실무자가 참여해 새마을금고중앙회에 상주하면서 관련 현황을 적극적으로 들여다본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