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해식품 수입 이력이 있는 기업이나 유해한 성분이 담긴 제품을 빠르게 찾아낸다. 검사관이 일일이 성분명을 검색하고 기준치를 확인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만큼 위해식품의 적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제14회 소비자정책포럼’에서 'AI 기술 기반 수입식품 안전관리'의 주제강연자인 이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 디지털수입안전기획과 사무관은 "AI가 수입식품 통관 시스템을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무관은 매년 수입식품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AI 통관시스템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고 있음을 강조했다.
식품 수입액은 지난 2016년 27조2000억원에서 2020년 32조20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이는 해마다 평균 4.28% 늘어난 수준으로, 국내 식품생산 규모의 연평균 증가율(2.86%)을 크게 웃돈다.
AI 통관시스템은 수입식품의 제조업체, 생산지, 원료 등 빅데이터를 신속히 분석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원료의 조합을 통한 위해성 여부, 생산지 표기 오류 등을 걸러낼 수 있다. 예컨대 아프리카 남부지역에서만 생산되는 원료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지가 호주로 표기된 경우 해당 원료의 호주 수입 내역이 없다면 통관을 불허하는 식이다.
통관속도도 빨라진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서류검사 절차를 24시간 자동화하면, 신속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수입업체의 경우 통관 속도가 빨라져 시장에 빠르게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된다.
현재 식약처는 자체 디지털 서류 검사 시스템인 ‘SAFE-i24 서비스’ 도입을 앞두고 있다. 오는 9월 식품첨가물을 대상으로 이후 원료 및 제조방법 등으로 검사 영역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SAFE-i24는 수입신고서에 기재된 25개 범주의 내용을 자동으로 검토한다. 검사 결과에 이상이 없는 경우 수입신고확인증을 자동으로 발급한다. 식품첨가물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AI를 활용한 수입식품 통관 시 선별 검사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사무관은 “수입식품의 통관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전성을 유지하려면 디지털화와 AI 기술 도입이 관건”이라며 “식품 당국의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수입자들이 통관 절차 중 소모하는 보관 비용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