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부문에 대한 위험, 특히 가계부채 감축 필요성을 언급한 것은 현재 금융불균형이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업권을 막론하고 지난해 말부터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언제, 어느 정도 수준에서 고점을 형성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연체·고정이하여신(NPL) 등 부실 채권이 앞으로도 상당 기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가계부채 규모를 줄여 자산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올해 4월 말 기준 연체율은 평균 0.304%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0.272%) 대비 0.032%포인트, 전년 동월(0.186%) 대비 0.118%포인트 증가한 규모다. 은행권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 1분기 국내은행 연체율은 0.33%로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3개월 만에 0.08%포인트 급증했다.
제2금융권에서도 올해 들어 연체율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연체율 위험은 지역 서민·중소기업 신용공급 목적으로 설립된 저축은행 업권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3.41%에서 올해 1분기 5.07%로 1.66%포인트 급증했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5%를 넘어선 것은 2016년 이후 약 6년 만이다.
농협·신협·수협 등 상호금융도 지난해 1.52%였던 연체율이 1분기를 지나면서 0.90%포인트 올라 2.42%로 치솟았다. 카드회사 연체율도 같은 기간 1.20%에서 1.53%로 0.33%포인트 늘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연체율 증가세가 단기간에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중소기업 실적 악화에 따른 상환능력 축소, 가계대출 규모 확대 등 불씨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도 이날 한은 창립 73주년 기념사를 통해 유의할 필요가 있는 금융부문 위험의 사례로 ‘부동산 대출 연체율 상승’을 꼽았다.
이와 같은 금융권의 우려는 최근 금융연구원이 각종 거시변수와 NPL 비율 등 추이를 분석한 결과 숫자로 증명됐다. 2010~2022년을 표본으로 진행된 이번 분석에 따르면 국내 은행권 NPL 비율은 지난해 말 0.18%에서 올해 말 0.33%로 무려 0.15%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다시 말해 올해 말까지 은행권이 실행한 가계대출 중 3조원가량이 장기간 연체돼 사실상 상환이 어려운 상태에 처할 것이란 분석이다.
연체율에 경고등이 켜지자 금융당국도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이준수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지난달 말 금융권 관계자와 민간전문가를 소집해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당시 금감원은 가계대출 연체율이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면서 “관련 동향을 상세히 관찰해 이상징후 발견 시 필요한 대응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에 더해 이번주 중 제2금융권 긴급 현장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연체율 관련 현황을 점검하고 부실채권의 신속한 매각을 유도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금감원이 현장점검을 계획하고 있는 금융사 규모는 저축은행 8개, 카드사 4개, 캐피털 6개 등 18개 기업이다. 아울러 상호금융권 현장점검도 진행할 방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내 연체율 상승 추이가 아직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지만 대비가 필요한 상황인 것은 맞다”며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업권을 막론하고 지난해 말부터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언제, 어느 정도 수준에서 고점을 형성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연체·고정이하여신(NPL) 등 부실 채권이 앞으로도 상당 기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가계부채 규모를 줄여 자산건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올해 4월 말 기준 연체율은 평균 0.304%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0.272%) 대비 0.032%포인트, 전년 동월(0.186%) 대비 0.118%포인트 증가한 규모다. 은행권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 1분기 국내은행 연체율은 0.33%로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3개월 만에 0.08%포인트 급증했다.
제2금융권에서도 올해 들어 연체율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연체율 위험은 지역 서민·중소기업 신용공급 목적으로 설립된 저축은행 업권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3.41%에서 올해 1분기 5.07%로 1.66%포인트 급증했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5%를 넘어선 것은 2016년 이후 약 6년 만이다.
농협·신협·수협 등 상호금융도 지난해 1.52%였던 연체율이 1분기를 지나면서 0.90%포인트 올라 2.42%로 치솟았다. 카드회사 연체율도 같은 기간 1.20%에서 1.53%로 0.33%포인트 늘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연체율 증가세가 단기간에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 중소기업 실적 악화에 따른 상환능력 축소, 가계대출 규모 확대 등 불씨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도 이날 한은 창립 73주년 기념사를 통해 유의할 필요가 있는 금융부문 위험의 사례로 ‘부동산 대출 연체율 상승’을 꼽았다.
이와 같은 금융권의 우려는 최근 금융연구원이 각종 거시변수와 NPL 비율 등 추이를 분석한 결과 숫자로 증명됐다. 2010~2022년을 표본으로 진행된 이번 분석에 따르면 국내 은행권 NPL 비율은 지난해 말 0.18%에서 올해 말 0.33%로 무려 0.15%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다시 말해 올해 말까지 은행권이 실행한 가계대출 중 3조원가량이 장기간 연체돼 사실상 상환이 어려운 상태에 처할 것이란 분석이다.
연체율에 경고등이 켜지자 금융당국도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다. 이준수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지난달 말 금융권 관계자와 민간전문가를 소집해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당시 금감원은 가계대출 연체율이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면서 “관련 동향을 상세히 관찰해 이상징후 발견 시 필요한 대응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이에 더해 이번주 중 제2금융권 긴급 현장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연체율 관련 현황을 점검하고 부실채권의 신속한 매각을 유도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금감원이 현장점검을 계획하고 있는 금융사 규모는 저축은행 8개, 카드사 4개, 캐피털 6개 등 18개 기업이다. 아울러 상호금융권 현장점검도 진행할 방침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내 연체율 상승 추이가 아직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지만 대비가 필요한 상황인 것은 맞다”며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