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전성시대'라고 불릴 정도로 전기차 판매가 급증함에 따라 전기차 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더불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 안전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가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개최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배터리로 인한 전기차 화재 건수는 적지만 파급력이 큰 만큼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리콜건수는 2018년 3건에 불과했지만 2019년 11건, 2020년 7건, 2021년 42건, 2022년 67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5년간 발생한 전기차 리콜 130건 중 소프트웨어로 인한 리콜이 43건으로 가장 많았다. 고전압 배터리로 인한 리콜은 15건에 그쳤다.
배터리로 인한 리콜 건수는 많진 않지만 배터리는 빽빽한 배터리셀로 구성되어있어 화재 발생시 진화가 쉽지 않다. 불을 끄는 데 최대 7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기존 차량 대비 100배에 달하는 물이 필요하다. 또 진화과정에서 배터리 폭발 및 고압 전류 노출 등의 2차 위험도 있다. 더 까다로운 안전 규정이 요구되는 이유다.
이 고문은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 리콜은 화재 사고로 이어진 경우 여론에 이끌려 불완전한 리콜을 실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지하에서 전기차 충전 중 발생하는 화재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SOC(State of Charge, 배터리 충전 상태) 100%로 되어 있는 지하 충전시설의 완속 충전기를 100% 이하로 제한해 화재 발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이제는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 보다는 안전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어렵고, 그 상황을 미리 감지 또는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일단 발화됐을 때 빠르게 열 폭주 현상으로 진행되면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조차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좀 더 강화된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무엇보다 전기차 화재를 제조사만의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정부와 협력해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석주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은 “향후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고전원 배터리에 대해 사전에 정부가 승인하고 제작에서부터 폐차 및 재활용까지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축전지 사전 승인 및 이력 관리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가 현재 지속되고 있으며,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도 제도 개선에 대비한 연구 수행 등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경 EVall 대표는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에서의 안전사고는 이전의 내연기관 차량의 사고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대한 별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정부를 비롯한 제작사의 관심과 협조가 없으면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중될 것이고, 시장성 또한 불투명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기차 사고에 대한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조치 가능한 것들은 교육이나 홍보 등을 통해 미연에 방지하고, 단기에 조치가 불가한 사항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전기차와 미래차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떨어지기 전에 관계자 모두가 합심해 체계적인 안전 정책 수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피력했다.
김동영 한국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최근 3년간 충전 과정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29건으로 사고 원인 2위이다. 충전시설이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늘어나지만 현재의 주차장법에는 별도의 안전 설비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소방청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보다 상세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연구원은 "자동차 및 전기차 전문가, 교통사고 전문 법조인, 급발진 추정 사고 관련 임상 경험이 풍부한 민간 전문가, 학계 및 공공기관 전문가, 소비자단체 전문가, 제조사 관계자 등이 모여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를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가 2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와 안전’을 주제로 개최한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배터리로 인한 전기차 화재 건수는 적지만 파급력이 큰 만큼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리콜건수는 2018년 3건에 불과했지만 2019년 11건, 2020년 7건, 2021년 42건, 2022년 67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5년간 발생한 전기차 리콜 130건 중 소프트웨어로 인한 리콜이 43건으로 가장 많았다. 고전압 배터리로 인한 리콜은 15건에 그쳤다.
배터리로 인한 리콜 건수는 많진 않지만 배터리는 빽빽한 배터리셀로 구성되어있어 화재 발생시 진화가 쉽지 않다. 불을 끄는 데 최대 7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기존 차량 대비 100배에 달하는 물이 필요하다. 또 진화과정에서 배터리 폭발 및 고압 전류 노출 등의 2차 위험도 있다. 더 까다로운 안전 규정이 요구되는 이유다.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이제는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 보다는 안전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며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어렵고, 그 상황을 미리 감지 또는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일단 발화됐을 때 빠르게 열 폭주 현상으로 진행되면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조차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좀 더 강화된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무엇보다 전기차 화재를 제조사만의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정부와 협력해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석주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부원장은 “향후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고전원 배터리에 대해 사전에 정부가 승인하고 제작에서부터 폐차 및 재활용까지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축전지 사전 승인 및 이력 관리 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가 현재 지속되고 있으며,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도 제도 개선에 대비한 연구 수행 등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경 EVall 대표는 "고전압 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에서의 안전사고는 이전의 내연기관 차량의 사고와는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대한 별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정부를 비롯한 제작사의 관심과 협조가 없으면 소비자들의 불안은 가중될 것이고, 시장성 또한 불투명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전기차 사고에 대한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조치 가능한 것들은 교육이나 홍보 등을 통해 미연에 방지하고, 단기에 조치가 불가한 사항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전기차와 미래차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떨어지기 전에 관계자 모두가 합심해 체계적인 안전 정책 수립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라고 피력했다.
김동영 한국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최근 3년간 충전 과정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29건으로 사고 원인 2위이다. 충전시설이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늘어나지만 현재의 주차장법에는 별도의 안전 설비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소방청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지만 보다 상세한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연구원은 "자동차 및 전기차 전문가, 교통사고 전문 법조인, 급발진 추정 사고 관련 임상 경험이 풍부한 민간 전문가, 학계 및 공공기관 전문가, 소비자단체 전문가, 제조사 관계자 등이 모여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를 만드는 방안도 고려해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