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눈치게임 언제까지] 3월 4.2%, 1년來 최저…불확실성 곳곳에

2023-04-04 17:04
  • 글자크기 설정

3월 소비자물가 전월比 0.6%p↓…2개 연속 하락

에너지 가격 하락 영향…전년동월보다 14.2%↓

"물가 아직 불안정…OPEC+ 감산, 상승 요인"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4% 초반대로 1년 만에 가장 낮은 폭으로 둔화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56(2020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2% 올랐다. 이는 2월 상승률(4.8%)보다 0.6%포인트 낮은 것으로 작년 3월(4.1%) 이후 1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4% 초반대로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회귀했다. 석유류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물가 전반을 끌어내린 영향이다.

물가 상승률은 고점을 찍고 하향하는 추세다. 다만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추가 인상,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의 원유 감산 등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변수가 산적해 당분간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4.2% 올랐다. 전월보다 0.6%포인트 낮아졌으며, 지난해 3월(4.1%) 이후 12개월 만의 최저치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은 뒤 5%대에서 횡보하다가 지난 2월 4.8%로 떨어졌고 지난달까지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석유류 가격 하락이 상승률 둔화를 이끌었다. 휘발유(-17.5%)와 경유(-15.0%), 자동차용 LPG(-8.8%) 등이 큰 폭으로 내렸다. 가공식품은 9.1% 올라 여전히 상승률이 높았지만, 전월(10.4%)보다는 오름세가 둔화했다.

물가 상승세가 한풀 꺾였지만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평가가 대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석유류 및 농산물 제외)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4.8%를 기록했다. 원유 등 에너지 가격 변동에 따라 물가가 다시 치솟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실제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러시아 등을 더한 OPEC+가 오는 5월부터 하루 166만 배럴 추가 감산을 결정하면서 국제 유가가 다시 요동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조만간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수 있다고 경고한다. 

여기에 정부가 주저하는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까지 현실화할 경우 물가가 더 오를 수 있다. 한국전력과 가스공사의 경영난을 감안하면 인상을 미루기 힘든 처지다.  

서민 체감형 물가도 불안하다. 지난달 개인서비스 물가는 5.8% 올라 전월(5.7%)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업계도 힘든 상황이라 가계 부담을 감안하더라도 가격 인상에 나설 수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고 있는 건 상당히 다행"이라면서도 "여전히 정부가 목표한 수치보다 두 배 정도 높은 수준이라 물가가 안정적으로 잡혔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국제 에너지 가격을 전기·가스 등 공공 서비스 요금 등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OPEC+의 감산 결정은 추후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