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회복 흐름을 보였던 국내 소비가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 부담과 주택가격 하락 등 악재로 둔화돼 미국 등 주요국보다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한국은행 조사국은 '국별 비교를 통한 소비흐름 평가 및 향후 점검' 제하의 BOK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와 주요국 민간소비는 팬데믹 발생으로 크게 위축된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회복 국면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이 향후 국내 소비여건을 소비여력과 주택경기, 기타요인 등으로 나눠 주요국과 국내 상황을 비교한 결과 우선 소득 부문에서는 더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팬데믹 이후 노동공급이 크게 늘어난 반면 노동수요가 크게 늘지는 않아 고용 증가 및 임금 상승을 통한 소득 개선 정도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한은 관계자는 "임금의 경우 미국보다 노동수요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주요 기업 실적 부징 등을 감안하면 상승폭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대출 원리금 상환 부문에 있어서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점쳐졌다. 한국의 경우 주요국 대비 가계부채 수준이 큰 데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도 높아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 원리금 상환 부담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내 주택경기가 주요국보다 더 부진하다는 점도 역자산효과 및 이주시 수반되는 내구재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초과저축 부문에서는 누증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 최근 중국 국경봉쇄가 해제돼 중국 관광객 유입이 본격화될 경우 자영업자 소득 개선으로 연결돼 민간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다만 "올해 국내 민간소비 증가세가 전년에 비해 상당폭 둔화되겠지만 그간 축적된 가계저축 등을 감안하면 급격한 위축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등 주요 선진국보다 리오프닝이 늦어 초과저축이 향후 소득충격의 완충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