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완성차 업체 혼다가 미국에 설립하는 배터리 합작공장이 착공에 들어갔다.
LG에너지솔루션은 28일(현지시간) 미국 오하이오주 파이에트 카운티 제퍼슨빌 인근에서 혼다와의 배터리 합작공장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미베 도시히로 혼다 자동차 사장, 합작법인 최고경영자(CEO)이자 LG에너지솔루션 북미지역총괄인 이혁재 부사장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마이크 드와인 오하이오 주지사, 존 허스테드 부지사 등 주정부 인사와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신규 공장은 약 18만6000㎡ 규모로 건설되며, 2024년 말 완공, 2025년 말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투자금액 44억 달러, 연간 생산능력 40GWh 규모에 달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신규 공장을 통해 22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신규 공장을 통해 생산된 배터리는 북미 혼다 공장에 독점적으로 공급된다.
합작법인은 한국 배터리 업체와 일본 완성차 업체의 첫 전략적 협력 사례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LG에너지솔루션과 혼다는 지난해 8월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해 미국 내 배터리 합작 공장을 함께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지난해 10월 공장부지 최종 발표, 11월 기업결합을 신고했으며 올해 1월에는 법인 설립을 마쳤다. 양사는 이번 기공식과 함께 합작공장을 본격적으로 건설해 북미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미래 경쟁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 사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LG그룹 역사상 혼다와 함께하는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사업이며, 혼다의 1세대 전기차 플랫폼에 사용될 배터리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두 회사 모두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이번 합작공장을 통해 청정 에너지의 미래를 달성하고 탁월한 품질로 선도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사장은 "오랫동안 자랑스러운 성공의 역사를 써온 두 기업을 대표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두 기업의 강점을 활용한다면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배터리 공장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적극적인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올해 북미·유럽·아시아 등 글로벌 생산공장의 생산능력을 300GWh까지 높이고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올해 시설투자를 지난해 대비 50% 이상 늘려 연간 매출을 25~30% 이상 증가시키겠다는 포부다.
LG에너지솔루션은 28일(현지시간) 미국 오하이오주 파이에트 카운티 제퍼슨빌 인근에서 혼다와의 배터리 합작공장 기공식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미베 도시히로 혼다 자동차 사장, 합작법인 최고경영자(CEO)이자 LG에너지솔루션 북미지역총괄인 이혁재 부사장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마이크 드와인 오하이오 주지사, 존 허스테드 부지사 등 주정부 인사와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신규 공장은 약 18만6000㎡ 규모로 건설되며, 2024년 말 완공, 2025년 말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투자금액 44억 달러, 연간 생산능력 40GWh 규모에 달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신규 공장을 통해 22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신규 공장을 통해 생산된 배터리는 북미 혼다 공장에 독점적으로 공급된다.
이후 지난해 10월 공장부지 최종 발표, 11월 기업결합을 신고했으며 올해 1월에는 법인 설립을 마쳤다. 양사는 이번 기공식과 함께 합작공장을 본격적으로 건설해 북미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미래 경쟁의 주도권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 사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LG그룹 역사상 혼다와 함께하는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사업이며, 혼다의 1세대 전기차 플랫폼에 사용될 배터리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두 회사 모두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이번 합작공장을 통해 청정 에너지의 미래를 달성하고 탁월한 품질로 선도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사장은 "오랫동안 자랑스러운 성공의 역사를 써온 두 기업을 대표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두 기업의 강점을 활용한다면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배터리 공장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적극적인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올해 북미·유럽·아시아 등 글로벌 생산공장의 생산능력을 300GWh까지 높이고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올해 시설투자를 지난해 대비 50% 이상 늘려 연간 매출을 25~30% 이상 증가시키겠다는 포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