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자리 잃은 K팩토리] 최악 땐 중국서 공장철수···韓 최대 수출시장도 날아갈 판

2023-02-14 06:50
  • 글자크기 설정

반도체 등 中 수출 의존도 최대 60%

美 수출통제 유예연장 합의가 최우선

저기술 제품 생산으로 버티기는 가능

결국엔 美·中 양자택일 수순 밟을 듯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 강도가 높아지면서 국내 반도체·전기차·배터리 기업이 중국 현지 공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에 소재한 생산 설비도 같은 이유로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 등이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해 계속 강도를 높여가고 있는 탓에 자칫 최악에는 사업 철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중국 현지 공장 철수로 글로벌 최대 규모인 중국 시장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문제다. 반도체 등 국내 중요 산업의 중국 매출 의존도가 40~60%에 이르는 상황에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시장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국내 대기업이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정책과 관련한 대응 방안을 다양하게 고심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 원천기술을 의존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최대 규모인 중국 시장도 포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선 국내 대기업들은 지금 상태로 갈등 수위가 유지되면서 미국 측에서 유예 조치를 받는 것을 바라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 현지 공장 장비를 도입하기 위해 미국 정부의 검사를 받게 되는 반도체 기업이 가장 급하게 이 같은 시나리오를 연구하고 있다. 

실제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장은 지난해 10월 콘퍼런스콜(IR)을 통해 "(반도체 장비에 대한 수출) 유예 조치를 1년씩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노 사장 발언처럼 최선의 시나리오는 매년 수출통제 유예 조치를 받아 정상적으로 중국 공장을 운영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에 설립된 생산 설비가 적지 않은 데다 반도체 최대 수입국인 중국 시장을 포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 1280억 달러 중 대중국 수출은 502억 달러로 약 39%를 차지했다. 266억 달러를 기록한 홍콩을 포함하면 비중은 60%로 과반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중국에 대한 미국의 견제 조치가 지금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인플레이션 방지법(IRA) 도입 등을 감안할 때 미국이 반도체 이외에 전기차나 배터리 부문 등 모든 첨단 산업 분야로 견제 조치를 확대할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지난해 하반기 시진핑 3연임이 공식화되면서 중국이 미국에 대한 규제를 통해 반격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 내부 문제가 정리된 만큼 향후 미국에 대해 공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이에 양국 간 갈등이 지금보다 더 심화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대안 시나리오로 기술 성숙도가 낮은 공정 기술을 중심으로 중국 공장을 운영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광범위하게 생산돼 미국과 중국이 규제하기가 어려운 저기술군 제품을 생산하자는 방안이다. 일각에서는 18nm(나노미터) 이하 D램과 128단 이상 낸드 플래시 등이 논의된다.

이렇게 되면 최대 수입국인 중국 시장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반도체 설비도 철수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설비 업그레이드 없이 해외에서 저수익 제품을 계속 생산·판매한다는 것은 한계가 분명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더 많다.

이에 국내 기업이 중국에서 중장기적으로 시장 철수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앞서 콘퍼런스콜에서 유예 조치를 1년씩 연장하는 시나리오를 거론한 노 사장도 "(유예가 안 된다면) 팹과 장비 매각하고 한국에 장비를 들여오는 것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는 얼마 전까지 매출에서 과반을 의존했던 중국 시장을 포기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생산 설비를 철수한 국가의 제품에 대한 중국의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는 진단이다. 중국 이외에도 러시아 등 전쟁으로 미국 등에서 제재를 당하는 국가까지 감안하면 포기할 수밖에 없는 시장 규모가 매우 커진다.

그러나 업계 일각에서는 중장기적으로 포기할 수밖에 없는 중국·러시아에 집착해 시간을 허비하기보다는 규모가 작더라도 동남아 등 유지할 수 있는 시장으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상식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도 "가급적이면 국내 기업들이 중국 내에서 활동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시나리오지만 결국 미국과 중국 중 양자택일을 선택하는 수순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을 포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지금부터라도 중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 수출 다각화 전략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