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줄 막히자 은행으로…5대은행 기업대출 이달에만 9조 늘었다

2022-10-31 18:00
  • 글자크기 설정

대기업서만 6조 증가…코로나 이후 최대 증가폭

31일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기업금융 대출상담 등 업무 관련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채권시장 경색으로 직접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은행으로 몰리면서 5대 은행에서만 한 달 새 대출이 9조원 가까이 늘었다. 특히 대기업이 6조원가량 대출에 나섰다. 금융당국은 당장 막힌 자금흐름을 뚫기 위해 은행의 기업대출을 독려하고 있지만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이 늘어나는 등 장기적으로는 금융위기의 또 다른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이달 말(27일)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703조7512억원으로 전월(694조8990억원)보다 8조8522억원 늘었다. 올 들어 5대 은행에서 불어난 기업대출만 67조8633억원이다. 아직 연말까지 두 달이나 남았지만 이미 지난해 전체 증가폭(60조2596억원)을 넘어섰다. 

특히 이 가운데서도 대기업 대출은 최근 한 달 만에 5조8592억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기업대출 증가액(8조8522억원)의 66% 규모다. 대기업의 이달 증가액(5조8592억원)은 2020년 3월(8조949억원) 이후 2년 7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중소기업 대출은 2조993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문제는 당분간 은행권의 기업대출이 가파르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채권시장의 자금 경색으로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기업들은 결국 은행의 간접 조달(대출)을 찾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금융당국과 한국은행이 당장 막힌 유동성을 뚫어주기 위해 한은에 맡기는 적격담보증권의 대상을 늘려주고 예대율(LCR·예금잔액 대비 대출잔액 비율) 등의 은행 유동성 규제 기준까지 낮춰주면서 기업대출을 독려하고 있어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문턱을 다시 높이기 힘든 상황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은행의 기업대출 급증에 따른 리스크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이날 기업 대출 부실 징후 대응 방안 자료를 통해 채무불이행 사태가 촉발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유사시 기업 유동성을 확충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전경련은 기업 대출의 부실 징후로 △코로나 이후 급증한 대출 △기업의 상환능력 약화 △높은 변동금리 비중 △부동산 등 취약 업종으로의 대출 쏠림현상 등을 지적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대출금이 늘어난 상황에서 부채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DSR(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율)은 2019년 37.7%에서 2022년 39.7%로 높아졌다. 또한 지난달 기준 기업의 72.7%가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변동금리 대출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졌다가 금리가 인상되면서 기업들이 자금난, 신용경색 등을 겪었다"며 "유사시 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도 사전에 강구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최근 금리·물가·환율 상승 등으로 기업 경영 여건이 악화하는 가운데 국내외 경기도 점차 둔화할 전망이라 한계기업 비중은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