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물가 고공행진] 가뭄·총파업·환율까지…'삼중고' 겪는 식품업계

2022-06-14 18:01
  • 글자크기 설정

경기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 화물차들이 멈춰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름 휴가철 성수기를 앞두고 식품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올 초부터 치솟고 있는 원·부자재 가격과 환율 리스크로 인해 고민이 커진 상황에서 화물연대 총파업과 이상 기온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연일 고공 행진하는 밥상물가를 잡기 위해 돼지고기와 식용유, 밀·밀가루, 달걀 가공품 등 7개 품목에 대한 할당관세를 연말까지 0%로 낮추기로 했지만 물가를 잡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그간 국가 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이미 관세가 없는 품목이 많아 지원 대상이 한정적이라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라면 제품 원재료로 쓰이는 팜유 등은 지원 대상에서 빠져 가격 인화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원·부자재 수급난과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봉쇄 등 글로벌 대외 변수도 불안 요소다. 최근엔 기록적인 가뭄으로 국내 농산물 작황이 나빠져 채소와 과일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했다. 특히 양배추(54.6%), 감자(32.1%), 무(31.3%), 열무(28.8%), 배추(24.0%), 부추(23.3%), 깻잎(22.0%) 등의 가격 상승률이 20% 이상 웃돌았다.

햄버거 등 일부 외식 프랜차이즈는 이상 기온으로 채소와 감자 등 수급이 원활하지 않자 관련 제품 판매를 중단하거나 다른 상품으로 대체하는 사태가 잇따르기도 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식품 기업들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곡물 등 수입 비용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식품기업일수록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다. 상반기는 미리 비축한 원·부자재로 버틸 수 있지만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하반기엔 식품 가격 도미노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공급망 다변화와 원가 구조 개선, 마케팅 비용 감소 등 수익성 중심의 경영 효율화 작업을 펼친다고 해도 원가를 압박하는 여러 요인이 한꺼번에 작용해 대응하는 데 힘든 점이 있다"면서 "몇몇 식품 대기업들은 이미 내부적으로 가격 인상 폭을 결정했고, 인상 시기만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화물연대 파업으로 공급난 조짐까지 일고 있다. 이번 파업으로 하이트진로와 오비맥주는 일평균 출고량이 평소 대비 각각 38%, 20% 수준까지 떨어지기도 했으며, 생수 시장 점유율 1위인 제주삼다수도 일평균 공급량이 평소 대비 30~40%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로 인한 대체 차량을 구하기 위한 비용 증가분도 원가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하면 제품 공급 지연은 물론 수출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물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추가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한다. 

업계 관계자는 "국제 곡물가 상승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화물연대가 요구하는 운송료 인상이 현실화한다면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제품 생산 비용이 더 증가할 수 있다"면서 "정부의 한시적인 관세 면제 정책보다는 법인세 인하, 규제 완화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