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출범과 6월 지방선거에 맞춰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추진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4개 시·도는 다음 달부터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 경제효과 등을 담은 연구보고서 작성을 시작한다. 정치권과 금융당국, 출자자 설득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4개 시·도는 내년 중에 금융당국에 인가 신청서를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간 경쟁이 치열한 만큼, 충청권 지방은행만의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앞세우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4개 시·도는 다음 달부터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을 위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료수집, 연구보고서 작성에 나선다. 연구보고서는 정치권과 금융당국, 출자자를 설득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추진하는 세종시 대외협력담당관 산하 충청권 상생협력기획단 측은 “인가 신청에 앞서 금융당국과 정치권을 설득하기 위해 은행 설립의 당위성, 인가 기준에 적합한 법적, 제도적 은행 설립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지방은행은 부산과 대구, 경남, 광주, 전북, 제주 등 6개 지역에 있다. 주요 시·도 중 강원과 충청권에만 없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충청은행과 충북은행 모두 문을 닫으면서 24년간 지방은행이 없었다. 충청은행은 1998년에 하나은행에 인수됐고, 충북은행은 조흥은행과 합쳐진 후 신한은행에 인수됐다.
충청권 상생협력기획단은 지방은행 부재로 인한 금융 경쟁력 약화로 충청 소재 중소기업, 소상공인들이 다른 지역 대비 금융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2019년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부산과 대구의 1인당 기업대출액은 각각 2억7700만원인 반면, 충남은 1억6900만원이었다. 2021년 기준 중소기업 대출 평균 이자율을 보면, 충북과 대전이 각각 3.31%, 3.29%로, 대구·경북(3.04%)과 경남(2.91%)보다 높았다. 자본의 역외유출도 충청 지역의 고민거리 중 하나다. 2021년 기준 충남과 충북의 역외유출액은 각각 23조원, 12조8000억원으로 나란히 전국 1·2위를 차지했다.
충청권의 지방은행 설립 준비는 올해 대통령 선거와 새 정부 출범, 6월 지방선거와 맞물려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새 정부의 대출규제 기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은행 간 경쟁 심화 등으로 새로 인가받는 지방은행이 살아남기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인가 신청 시 충청권 지방은행만이 강점을 가질 수 있는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고민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