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유착의 부정적 폐해가 반복적으로 누적된 오랜 역사를 가진 한국에서는 ‘기업정치활동’이 다소 생소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국에서 기업정치활동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정경유착에서 비롯된 부패 스캔들이 터져나와 이슈의 현저성이 두드러질 때 한하여 일시적으로, 그리고 매우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의 연구가 아무리 학술적인 작업이라 하더라도 기업 활동에 정치활동까지를 포함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는 기업의 부정적인 시각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민주정치 과정에서 기업 등 이익집단의 활동은 예외적으로만 진행되는 이벤트나 스캔들이 아니다.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기업정치활동은 일상적으로 진행되는 민주정치 과정의 본질적 한 부분이다.
서구 대부분의 국가들에서와 같이 기업 등 이익집단의 정치활동은 한국에서도 상시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부패 스캔들 사건으로 표출되는 로비가 아니고,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투입 부문의 상시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업정치활동 연구가 한국에서는 큰 연구 공백으로 남아 있다. 정부의 정책 현안에 대해 기업이나 업계 단체가 실제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 과정에서 참여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저자가 이 책을 집필하는 데만 3년이 걸렸지만 30여 년 동안 관련 자료를 축적하고 연구를 수행했다. 그러므로 이 책은 30여 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에 걸친 연구의 산물이다. 저자는 기업 로비가 지금처럼 커튼 뒤의 은밀한 거래로 진행되도록 방치해 두어서는 안 되며, 누가 누구를 상대로 무엇에 대해 로비하는지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로비활동 공개법이 제정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논설고문·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겸직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