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과기정통부는 네트워크 미래 비전을 담은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전략' 수립에 앞서 추진 방향을 발표하고 토론회를 진행했다.
디지털 대전환이 산업 각계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네트워크 인프라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오는 2030년경 상용화가 예상되는 6G는 5G보다 전송속도가 최대 50배 빠르고 지연 시간은 최대 10분의 1로 줄어든다. 기지국 하나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의 개수도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모든 것이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6G 기술을 선점하는 기업과 국가가 다음 산업혁명의 승자가 된다"고 전망한 바 있다. 이에 미국과 중국 등 통신 패권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20년 3월 신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지난해 6월에는 6G 백서를 발표해 6G 기술표준 선점에 나섰다. 중국의 화웨이는 2017년 일찌감치 6G 연구에 돌입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특허를 확보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델오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통신 장비 시장에서 중국의 화웨이(29%)가 1위, 에릭슨·노키아(각각 15%)가 공동 2위, ZTE(11%)가 4위에 올랐다. 미국의 시스코(6%)는 5위, 삼성전자(3%)는 6위다.
정부는 이 같은 상황에서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이어 네트워크 경쟁력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선제적인 정책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정부는 5G 진화(5G-Advanced), 위성통신과 연계한 6G, 양자 통신, 오픈랜 등 첨단 기술 개발을 본격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초격차 기술 혁신과 구내‧백본망 등 기초 인프라 고도화와 SW‧지능화 기술 도입 등을 통한 견고한 네트워크 기반 강화를 추진한다. 이를 토대로 세계 최고의 네트워크 혁신 국가 도약을 위한 미래 비전을 종합적으로 담은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전략' 수립에 착수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미래에는 네트워크 경쟁력이 산업의 혁신성과 경쟁력을 좌우하는 척도가 될 것인 만큼, 주도권 선점을 위한 발빠른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국내외 네트워크 동향과 미래 발전 방향을 공유했다.
삼성전자는 5G 핵심 칩 기술을 개발해 내재화하고 독보적인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추는 등 기술 선도를 위한 노력에 앞장서고, 향후 차별화된 솔루션을 통해 네트워크의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SKT는 지속적인 5G 네트워크의 진화와 6G 기술 준비에 나섰다. 인공지능(AI), 메타버스의 본격적 확산과 함께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등 신규 통신 서비스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KT는 지능형 네트워크 진화, 양자암호 기반 네트워크 보안성 강화, 위성망 연동 기반 연결성 확대 등 제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양자 보안과 AI 기반 장애 예측관리, 오픈랜 등을 통해 인프라‧디바이스‧서비스‧생태계를 고려한 미래 네트워크를 준비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