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정상통화 일정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이어 “양국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기본 가치를 공유하고 지리적, 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국가로서 이웃 나라다운 협력의 본보기를 보여줄 수 있도록 소통하며 협력해 나가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기시다 총리가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선출된 지난달 29일과 기시다 총리의 취임 후 첫 국회 소신표명 연설이 있었던 지난 8일에도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내놓은 바 있다.
기시다 총리는 취임 이튿날인 지난 5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통화했다. 이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7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8일)과도 통화했다.
실제 기시다 총리는 8일 첫 국회 연설에서 한국에 대해선 맨 마지막 두 마디를 언급하는 데 그쳤다.
기시다 총리는 “한국은 중요한 이웃 나라”라며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강하게 요구하겠다”고만 말했다.
한국 정부에 적절한 대응을 강력히 요구하겠다는 이 발언도 양국 최대 현안인 ‘강제징용’과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 강경하게 대응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됐다.
기시다 총리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일본 외무상으로서 합의문에 직접 서명한 인물이다.
현재까지 양국 상황을 종합했을 때 문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첫 대면 일정도 불투명한 상태다. 이달 30~31일 로마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는 중의원 선거 일정을 이유로 화상 참석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11월 1~2일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에는 대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영국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와 지난 7월 도쿄올림픽 때 한·일 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일본의 소극적인 태도로 끝내 무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