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동방] 신임 금융감독원장 후보군에 교수 출신 학자들이 물망에 오른 가운데 금감원 노조가 날선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노조 측은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비관료 원장을 선호해 교수 출신 원장을 고수하려는 고집을 꺾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감원 노조는 31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이달 7일 퇴임한 윤석헌 전 원장과 교수 출신 금감원 고위 임원들은 문 대통령의 ‘비관료 원장 실험’이었다며 “(실험은) 처참한 실패로 끝났다”고 비난했다.
노조는 “조직의 수장으로 교수를 겪어보니 정무감각과 책임감을 도저히 찾아보기 어려웠다”며 “교수 출신 원장, 부원장들의 막무가내식 일처리와 권역별 나눠먹기로 금감원은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외이사나 관변학자로 과분한 대접을 받다 보니 교수들은 ‘자신의 생각이 정의’라는 독선에 빠지기 쉽다”며 “윤 전 원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교수 출신 부원장들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교수 출신 원장·부원장 선임에 대해 노조는 ‘인사참사’가 불거져 직원 간 갈등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에게는 “책으로 세상을 배운 교수가 아닌, 산전수전 다 겪은 능력있는 인사를 원장으로 임명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아울러 노조는 금융권 통합감독기구로서 금감원 출범이 22년째를 맞았지만 외부 출신 인사만 원장에 임명되고 있는 현실도 꼬집었다. 내부에서 원장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권역 갈등에서 자유로운 ‘통합 후 세대’를 먼저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노조는 “통합 1세대에서 아직 부서장이 한 명도 배출되지 않고 있다”며 “금감원 내부 출신 원장이 배출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 노조는 31일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이달 7일 퇴임한 윤석헌 전 원장과 교수 출신 금감원 고위 임원들은 문 대통령의 ‘비관료 원장 실험’이었다며 “(실험은) 처참한 실패로 끝났다”고 비난했다.
노조는 “조직의 수장으로 교수를 겪어보니 정무감각과 책임감을 도저히 찾아보기 어려웠다”며 “교수 출신 원장, 부원장들의 막무가내식 일처리와 권역별 나눠먹기로 금감원은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외이사나 관변학자로 과분한 대접을 받다 보니 교수들은 ‘자신의 생각이 정의’라는 독선에 빠지기 쉽다”며 “윤 전 원장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교수 출신 부원장들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교수 출신 원장·부원장 선임에 대해 노조는 ‘인사참사’가 불거져 직원 간 갈등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에게는 “책으로 세상을 배운 교수가 아닌, 산전수전 다 겪은 능력있는 인사를 원장으로 임명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아울러 노조는 금융권 통합감독기구로서 금감원 출범이 22년째를 맞았지만 외부 출신 인사만 원장에 임명되고 있는 현실도 꼬집었다. 내부에서 원장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권역 갈등에서 자유로운 ‘통합 후 세대’를 먼저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노조는 “통합 1세대에서 아직 부서장이 한 명도 배출되지 않고 있다”며 “금감원 내부 출신 원장이 배출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