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를 제조하는 LG화학과 그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소비자와 정책 당국의 친환경 움직임이 못내 반갑다. 이 같은 관심 덕에 차세대 성장동력인 전기차와 그 배터리가 큰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친환경 분위기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것이 반갑지는 않다. 전기차 배터리 글로벌 1위를 놓고 벌어지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탄소배출 저감까지 신경 쓰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8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LG화학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2017년에는 941만t 수준이었으나 2018년에는 999만t, 지난해에는 1058만t으로 연평균 6%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는 같은 기간 LG화학의 매출액이 25조6980억원에서 28조6250억원으로 연평균 5.7%가량 늘었음을 감안하면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은 아니다. 특히 이 기간 LG화학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1위 차리를 차지하기 위해 제품 생산·생산 설비를 급격히 늘린 것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를 통해 LG화학은 2016년 4.3%에서 지난해 10.5%로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었다. 아울러 올해 1~3분기 24.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마침내 글로벌 1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이 시기 설비 투자의 역할이 컸다.
그러나 온실가스 리스크도 같이 확대됐다. 탄소배출권 거래제 2기(2018~2020년) 기간 동안 LG화학이 할당받은 무상배출권 규모는 연평균 764만t 수준으로 추산된다. 2018년에 786만t(추가할당량 포함)과 지난해 747만t, 올해 758만t의 무상할당량을 배정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LG화학은 2018년과 지난해 800만t과 841만t의 서류상(측정하기 어려운 배출 등 제외) 온실가스를 배출해왔다. 각각 무상할당량보다 14만t과 94만t가량 넘치는 수준이다. 그 결과 LG화학의 탄소배출권부채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252억원으로 불어났다. 지난 2년 동안 LG그룹 계열사에서 23만t 규모의 탄소배출권을 구입했으나 부족분을 다 채우지 못했다.
문제는 내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 3기(2021~2025년)가 시행되면, 무상할당량이 줄어들고 탄소배출권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기업들이 짊어져야 할 재무 리스크도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치르고 있는 LG화학에 획기적인 온실가스 저감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올해 7월 LG화학이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성장' 전략에는 이 같은 고민이 묻어난다.
탄소중립 성장은 사업 성장에 따른 탄소 배출량 증가와 동등한 수준의 감축 활동을 펼쳐 탄소 배출 순증가량을 제로로 만드는 전략을 의미한다. 사업장을 줄일 수 없는 상황이라, 개별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저감하겠다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석유화학업체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 직후 행정소송을 진행할 만큼 반대가 심했던 분야"라며 "LG화학은 국내 유수의 대형 석유화학업체인 만큼 거래제에 대한 리스크도 유독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
8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최근 3년 동안 LG화학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2017년에는 941만t 수준이었으나 2018년에는 999만t, 지난해에는 1058만t으로 연평균 6%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를 통해 LG화학은 2016년 4.3%에서 지난해 10.5%로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었다. 아울러 올해 1~3분기 24.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마침내 글로벌 1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이 시기 설비 투자의 역할이 컸다.
그러나 LG화학은 2018년과 지난해 800만t과 841만t의 서류상(측정하기 어려운 배출 등 제외) 온실가스를 배출해왔다. 각각 무상할당량보다 14만t과 94만t가량 넘치는 수준이다. 그 결과 LG화학의 탄소배출권부채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252억원으로 불어났다. 지난 2년 동안 LG그룹 계열사에서 23만t 규모의 탄소배출권을 구입했으나 부족분을 다 채우지 못했다.
문제는 내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 3기(2021~2025년)가 시행되면, 무상할당량이 줄어들고 탄소배출권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기업들이 짊어져야 할 재무 리스크도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치르고 있는 LG화학에 획기적인 온실가스 저감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올해 7월 LG화학이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성장' 전략에는 이 같은 고민이 묻어난다.
탄소중립 성장은 사업 성장에 따른 탄소 배출량 증가와 동등한 수준의 감축 활동을 펼쳐 탄소 배출 순증가량을 제로로 만드는 전략을 의미한다. 사업장을 줄일 수 없는 상황이라, 개별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저감하겠다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석유화학업체는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 직후 행정소송을 진행할 만큼 반대가 심했던 분야"라며 "LG화학은 국내 유수의 대형 석유화학업체인 만큼 거래제에 대한 리스크도 유독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